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19세기 내한 남장로교 여성 선교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emale Missionaries of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That Visited Korea in the 19th Century

송현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emale missionaries of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that visited Korea in the 19th century were usually from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Six out of eight graduated from college. In the U.S.A. in 1900, 14% of the population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only 3% graduated from college. In 1900, 8% and 6% of male and female population, respectively, entered college(including two- and three-year colleges). Considering these numbers, it is clearer that which social class they belonged to. The environments of the places where they did missionary work and lived were, however, not much friendly to them. Two out of eight died in the mission field with one bereaved of her husband. Total five of their children lost lives. Those who were married had a lot of difficulties with child birth and rearing. Patsy, Lucy and Charlotte found their priority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supporting their husbands that were missionaries in the mission field. Their modern family management or their attitudes of raising children and leading a marriage life had influences on Korean people around them secretly. In addition, they made huge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inistry for women and children. In the Neo-Confucian social atmosphere with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ey were in almost exclusive charge of missionary work targeting women. They penetrated into the homes of Korean people, led Korean women into a church, and helped them be born again as social beings. Ministry for women was the driving force in the growth of a local church. Moreover, the female missionaries took interest in school education and set up Boy's School and Girls' School in Gunsan, Girls' School in Jeonju, and Girls' School in Mokpo. These schools were weak at the beginning, but they soon emerged as the venues of learning for local women and maintained their status. The female missionaries of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that visited Korea in the 19th century made contributions to missionary work in Korea through family management, missionary work for women and children, and school education in the places of their missionary work and became foundations in these areas.

한국어

19세기 내한한 남장로교 여성 선교사들은 대체적으로 고학력자들이었다. 8명 중에 6명이 대학을 졸업했는데, 1900년 당시 미국 인구 중 고졸자는 14%, 대졸자는 3%였 다는 점, 그리고 1900년 미국의 대학 진학률(2~3년제 포함)이 남자 8%, 여자 6%였다 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들이 어느 계층에 속해 있었는지 좀 더 분명해진다. 하지만 그들이 생활했던 피선교지 환경은 그렇게 우호적인 것이 아니었다. 8명 중 2명이 선교 현장에서 사망했고, 1명은 남편과 사별했다. 모두 5명의 아이들이 목숨을 잃었다. 또 기혼자들은 출산과 양육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팻시와 루시 그리고 샬럿은 선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선교사 남편을 내조하는 일에 우선하였음을 본다. 그들 이 보여준 근대적인 가정 경영 즉 자녀양육과 부부생활의 태도는 암암리에 주변의 한국 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또 그들은 여성과 어린이 사역 분야에 큰 성취를 거두었다. 남녀유별의 성리학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여성 전도는 거의 그들의 몫이었다. 한국인들의 가정 내부로 파고 들어가 여성들을 교회로 이끌어 사회적 존재로 거듭나게 했다. 여성 사역은 지역교회 성장의 견인차였다. 그리고 여선교사들은 학교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군산남학교와 여학 교, 그리고 전주여학교, 목포여학교를 세웠다. 그 학교들은 처음에는 미약하였지만 금세지역 여성들의 배움터로 우뚝 섰고, 그 후 지속되었다. 이렇게 19세기 내한 남장로교 여성 선교사들은 피선교지에서 가정 경영과 여성·아동 전도 그리고 학교 교육을 통해 한국 선교에 이바지 하는 한편 해당 분야의 초석이 되었다. 이 글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초기 남장로교 여성선교사들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에 대한 구조적 분석과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1892년 내한 여성 선교사
Ⅲ. 1894~1899년 내한 여성 선교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현강 Song, Hyeon-Kang. 한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