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판소리 원격수업 콘텐츠 개발의 실제 : <춘향가> 中 ‘자진 사랑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eveloping Remote Learning Content for Pansori : Focused on ‘Jajin Sarangga’ in <Chunhyangga>

허선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used ‘Jajin Sarangga’ in as remote learning content for pansori developing it into six class-hour lessons and suggested essay writing linked with each area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an evaluation plan for singing. In Class 1~2, students were instr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based o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using videos and images. In Class 3~4, students were instructed to experience the musical traits of pansori by singing ‘Jajin Sarangga’ themselves, thus appreciating its taste and beauty. In Class 5~6, students were instructed to express the melody and musical traits of ‘Jajin Sarangga’ through garakseonbo (melodic contour notation) and experience the communicative method between a pansori singer and a percussion accompanist and between the performers and audience. Thus, they could express the musical traits of pansori by singing while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the origin and history of pansori. They also expanded on the scope of musical expression by learning pansori breathing, singing styles, and 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students will realize and appreciate the beauty and value of pansori in depth by understanding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by visualizing the melody heard with their ears into garakseonb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an example of developing instructional content for online Korean music classes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content for future remote learning.

한국어

본 연구는 판소리 원격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춘향가> 중 ‘자진 사랑가’를 활용하여 1∼6차시 로 개발하고, 각 수업 내용을 연계한 논술과 가창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1∼2차시는 영상과 이미 지를 활용하여 조선 후기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판소리의 특징까지 이해할 수 있다. 3∼ 4차시에서는 ‘자진 사랑가’를 감상하고, 온라인 학습지로 사설붙임새를 학습하여 그 음악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다. 5∼6차시는 ‘자진 사랑가’의 가락과 음악적 특징을 가락선보로 나타내고 따라 부르며, 판소리 공연에서 소리꾼과 고수, 그리고 관객의 소통 방법을 체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소리의 역사와 시대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며 감상할 뿐만 아니라, 판소리의 호흡, 창법, 표현 법 등을 익히고 그 음악적 특징까지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 표현 활동의 범위를 넓힐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 귀로 들은 가락을 가락선보로 시각화하는 활동과 함께 노래함으로써 이 음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깨닫고 애호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원격수업용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온라인 국악 수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의 한 예로 적용될 수 있길 바란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Ⅱ. 원격수업을 위한 판소리 콘텐츠의 개발 방향
1. 판소리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성과 분석
2. 원격수업을 위한 판소리 콘텐츠 내용 방향 제안
Ⅲ. ‘자진 사랑가’ 원격수업 콘텐츠 개발의 실제
1. 판소리 <춘향가> 中 ‘자진 사랑가’ 콘텐츠 개발 설계
2. 판소리 <춘향가> 중 ‘자진 사랑가’ 콘텐츠 개발의 실제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선형 Heo, Seon-Hyeong. 안양 신기중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