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유아교육체제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ublic Education

엄문영, 최예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asks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current ECE system in South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Ministry of Education’s “5-year development plan” to analyze the vision and directions of the government’s ECE policy, analyzed the current ECE system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derived from primary principles and policy domains for public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policy tasks for incorporating ECE into the public education syste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overnment has strived to establish an advanced ECE system under the goals of increasing publicness and national accountability and has pursued improving its quality beyond the increased accessibility of the ECE. Second, Korea has continued to improve the ECE system by increasing the enrollment rate in public kindergarten, providing greater financial subsidies to parents, clarifying the transparency in financial accounting by adopting the “K-edufine” system, introducing the evaluation system, implementing a national (“Nuri”) curriculum, and encouraging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ties with mandatory parent meeting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four tasks for the government in each short-term and long-term plan based on the “principle-domain” framework for increasing the public nature of E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유아교육체제를 분석하여 향후 유아교육 공교육화 진전 과정에서의 발전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의 유아교육 5개년 발전계획을 통해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방향과 내용을 살펴보고, 공교육의 원리와 실제 영역의 구조적 준거를 토대로 유아교육체제의 현 황을 분석하여, 유아교육이 기간학제화 단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실현되어야 할 향후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정책은 공공성과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목표 아 래, 유아교육의 양적 확대를 넘어 질적·문화적 개선에 이르는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보다 선진화된 유아교육체제 구축을 시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의 유아교육은 지난 20년간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 제고, 부모 부담률 개선, K-에듀파인 도입으로 인한 재무회계 투명성 제고, 평가인 증의 도입, 누리과정의 전면적 시행, 유치원 운영위원회 의무화를 통한 부모-지역사회 연계 제고 등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한 원리-영역 프레임웍을 설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체제 진입을 위한 과제들을 단기와 장기 로 구분하여 각각 4가지 세부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개념과 요소
2.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스펙트럼
Ⅲ. 연구 방법
1. 체계적 문헌 분석
2. 구조적 분석의 틀
Ⅳ. 분석 결과
1. 유아교육 발전계획의 방향과 내용
2. 유아교육체제 현황
3. 유아교육 공교육화를 위한 정책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문영 Eom, Moonyoung. 서울대학교
  • 최예슬 Choi, Yeseul.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