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딥러닝 기반 언어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쓰기 평가의 자동 점수 구간 분류 - KoBERT와 KoGPT2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utomatic Score Range Classification of Korean Essays Using Deep Learning-based Korean Language Models - The Case of KoBERT & KoGPT2 -

조희련, 이유미, 임현열, 차준우, 이찬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utomatic Score Range Classification of Korean Essays Using Deep Learning-based Korean Language Models-The Case of KoBERT & KoGPT2-.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deep learning-based Korean language models on a task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Korean essays written by foreign students. We construct an experimental data set containing a total of 304 essays, which include essays discussing the criteria for choosing a job (‘job’), conditions of a happy life (‘happiness’), relationship between money and happiness, and definition of success. These essays were divided into four scoring levels, and using this 4-class data set, we fine-tuned two Korean deep learning-based language models, namely, KoBERT and KoGPT2, to use them in the automatic essay classification experiment. The 7-fold cross validation classification accuracies of ‘job’ and ‘happiness’ essays were 48.8% and 65.2% respectively for KoBERT, and 50.6% and 58.9% respectively for KoGPT2. Furthermore, the 7-fold cross validation classification accuracies of the integrated dataset that combined all essays were 54.5% and 46.5% for KoBERT and KoGPT2 respectively.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딥러닝 모델'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평가 점수'를 어느 정도 유사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304편의 한국어 쓰기 자료와 각각에 대한 평가 점수를 KoBERT와 KoGPT2로 학습시킨 후 그것이 인간 채점자(한국어 교사)의 평가 점수를 어느 정도 유사하게 예측하는지 실험하였다. 학습 데이터는 주제에 따라 '직업'과 '행복'으로 구분하였고, 점수에 따라 4종 레이블을 부착하였다. 7겹 교차 검증을 통한 실험 결과, KoBERT에서는 '직업' 데이터에서 48.8%, '행복' 데이터에서 65.2%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KoGPT2에서는 같은 데이터에 대해 각각 50.6%와 58.9%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더불어, 모든 주제를 통합한 데이터에서는 KoBERT와 KoGPT2에 대해 각각 54.5%와 46.5%의 분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쓰기 자료에 대한 자동 채점 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GPT-3의 한국어 모델이 개발되는 등의 기술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이 연구에서 시도한 한국어 자동 채점 시스템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쓰기 답안지 자동 점수 구간 분류 실험
3.1. 데이터
3.2.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4.1. ‘직업의 조건’ 실험 결과
4.2. ‘행복의 조건’ 실험 결과
4.3. ‘통합’ 실험 결과
4.4.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조희련 Cho, Heeryeon. 중앙대학교
  • 이유미 Yi, Yumi. 중앙대학교
  • 임현열 Im Hyeonyeol. 중앙대학교
  • 차준우 Cha, Junwoo. 중앙대학교
  • 이찬규 Lee, Chankyu.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