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버지가 지각하는 부모의 공동양육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과 사회정서발달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arents' Coparenting Scale on Child's Social Competence as Father’ Sense :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방해순,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mmunication and social sentimen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father's late parents' co-parenting, the effects of family integration and conflict on the infant's social skills, and in the process. To this end, he used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PSKC) in 2014.. The sample was selected from 1,620 households who completed the survey in the 7th year of the survey, and 1,029 household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 "I, my spouse, and my child"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ain analysis, First, it is partially mediated between family integration and social competence, but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between conflict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social sentiment development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etween family integration and social competence, which is a sub-factor of parent co-cultivation, and completely mediated between conflict and social compete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가 지각하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하위요인인 가족통합과 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학습준비도의 하위요인인 의사소통, 사회정서발달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한국아동패널(PSKC)의 7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7차 년도 조사에 실사 완료를 한 1,620가구 중 공동양육 문항 에서 ‘나는 나와 배우자, 아이와 함께 있을 때’ 문항에 응답한 1,029가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가족통합과 사회적 유능감 간에 있어 부분매개 하지만 갈등과 사회적 유능감 간에 있어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발달은 부모 공동양육의 하위요인인 가족통합과 사회적 유능감 간에 있어 부분매개 하고, 부모 공동양육의 하위요인인 갈등과 사회적 유능감 간에 있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2.2 연구도구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기술통계량
3.3 상관관계
3.4 매개모형 검증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방해순 Hae-Soon Bang. 군포시립삼성마을어린이집 원장
  • 이현주 Hyun-Ju Lee.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