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클린뷰티 화장품에 나타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원문정보

Study of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 in Clean Beauty Cosmetics

이영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lean beauty’ attracts attention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cosmetics without harmful ingredients as people wear masks in the age of COVID-19. Thu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clean beauty cosmetic brands circulated in Korea on/offline in 2020. This study extracted 36 clean beauty brands and selected 20 suitable brands through an experts’ analysis. For an analysis of clean beauty cosmetic brand communication, components: naming, logo, color, package, and website were drawn to conduct a survey. Preferred were the words they come up with when they think of nature or health for naming; wordmarks in a simple form for logo; greenish or yellowish for color; the simple form aligned center on the container body for package; and the images of plants, animals, and humans for website. To sum up the components, utilizing natural, clean, and light images harmoniously, acted as a factor for preferring the clean beauty cosmetic brands.

한국어

코로나 시대 마스크 착용으로 유해 성분을 배제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클린뷰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국내 온·오프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클린뷰 티 브랜드 36개를 추출하고 전문가 분석을 통해 적합한 브랜드 20개를 선정하였다.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 커뮤니케 이션 분석을 위해 구성요소를 네이밍, 로고, 색채, 패키지, 웹사이트로 도출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네이밍은 자 연, 건강 등을 연상하면 떠오르는 단어, 로고는 심플한 형태의 워드마크, 색채는 녹색이나 노란색계열, 패키지는 용기 바디에 가운데 맞춤으로 구성된 심플한 형태, 웹사이트는 식물과 동물, 사람의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종합해 볼 때 자연, 깨끗한, 가벼운 이미지 등을 조화롭게 활용한 것이 클린뷰티 화장 품 브랜드를 선호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내용
2. 클린뷰티의 이론적 배경
2.1 클린뷰티의 개념 및 정의
2.2 클린뷰티 화장품의 시장현황
3. 클린뷰티 화장품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어션 분석
3.1 구성요소 도출
3.2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3.3 구성요소 분석 및 결과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영화 Young-Hwa Lee. 동양미래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