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 易類 비교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 and Yilei of Siku Quanshu

『고금도서집성』 이학휘편 경적전 역경부와 『사고전서』 경부 역류 비교

임재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attempted a rudimentary and literary review of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nd Yilei(易類) of Siku Quanshu (四庫全書) by dividing it into five sub-themes: edition problem, classification format, book title comparison,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and Tiyao(提要), and Yijing Bu Yixue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and Shushulei(術數類). Through this, I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achievements and task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book titles of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of Gujin Tushu Jicheng and Yilei of Siku Quanshu, a list of 47 volumes of literatures that are commonly included in the two documents could be derived. This list can be seen as a more important than the book list of the Yilei of Siku Quanshu. And also it can be seen as a more important than the book list of the Yijing Bu Huikao of Gujin Tushu Jicheng. Therefore, the study of this 47 books summarized above is the most basic and urgent task in our academia.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of Gujin Tushu Jichengand Tiyao of Siku Quanshu, I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academic value of the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is the Yijing Bu Zonglun. As the main academic value of Siku Quanshu is in the Tiyao, scholars of Siku Quanshu compiled Siku Quanshu Zongmu along with the compilation of Siku Quanshu. For the same reason, In today's academia,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Yijing Bu Zonglunseparately,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cademic value of the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 Of course, in our academia,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this book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value of the Zhouyi(周易). If this work is done, it is clear that it will be evaluated as a very valuable achievement in our academic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 역학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 집성으로 평가되는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 易類에 대해 판본 문제, 분류 체재, 서목 비교, 易經部總論과 提要 비교, 『古今圖書集成』 易經部易學別傳과 『四庫全書』 術數類 비교 등의 다섯 가지의 소주제로 나눠 초보적이며 문헌적인 고찰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필자는 대략 다음과 같은 성과와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古今圖書集成』 易經部彙考2-12와 『四庫全書』 易類의 서목의 비교를 통해 두 문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문헌 총 47부의 중요 문헌의 목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四庫全書』 易類의 158부 역학서보다 더 중요한 역학서로 볼 수 있으며, 『古今圖書集成』 易經部彙考2-12의 약 326부의 역학서보다도 더 중요한 역학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정리한 이 47부의 역학 저서에 대한 연구가 학계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시급한 과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필자는 『古今圖書集成』 易經部總論과 『四庫全書』 提要의 비교를 통해 『四庫全書』의 주요한 학술적 가치가 제요에 있는 것과 같이 『古今圖書集成』 易經部의 가장 중요한 학술적 가치로 평가되는 것은 易經部總論임을 확인했다. 『四庫全書』의 주요한 학술적 가치가 제요에 있기 때문에 사고관신이 『四庫全書』의 편찬과 더불어 『四庫全書總目』을 편찬하였듯이, 오늘날 학계에서는 『古今圖書集成』 易經部의 가장 중요한 학술적 가치로 평가되는 易經部總論만을 따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책을 간행할 필요가 있다. 물론 우리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번역 작업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주역』이라는 문헌의 본질 및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만 이루어져도 우리 학계에서는 매우 소중한 성과로 평가될 것이 분명하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언
Ⅱ. 『古今圖書集成』과 『四庫全書』의 판본
Ⅲ. 『古今圖書集成』과 『四庫全書』의 분류 체재
Ⅳ.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 易類 서목 비교
Ⅴ. 『古今圖書集成』 易經部總論과 『四庫全書』 提要
Ⅵ. 『古今圖書集成』 易經部易學別傳과 『四庫全書』 術數類
Ⅶ.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재규 Im, Jae Kyu.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