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PRO-PEST-SWOT 분석에 의한 인공지능 기반의 국가위기관리정책 발전요인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Factor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Nati onal Crisis Manage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SPRO-PEST -SWOT Analysis

최원상, 신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is applied, the most remarkable ICT is believed to b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nd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polic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this end, Analyze the internal capabilities of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 SPRO analysis to derive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PEST analysis to derive opportunities and threats. The various factors that have been derived through SWOT analysis to derive SWOT factors with consultation from experts who studied and worked for long-ter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ecurity and disaster areas. Focusing on these factors, the Korean government's development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polic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se factors,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policies and made policy suggestion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국어

포괄안보의 개념이 적용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전개로 인해서 가장 괄목할만한 정보통신기술(ICT)은 인공지 능(AI)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위기관리정책발전을 위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 고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 정부의 내부역량을 SPRO 분석하여 강점과 약 점을 도출하고, 외부환경을 PEST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다양한 요인들은 SWOT 분석을 하여 정보통신기술(ICT)과 안보 및 재난 분야에서 오랜 기간 재직 중인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SWOT 요인을 도출 하였다. 이 요인들을 중점으로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한국 정부의 국가위기관리정책 발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를 위기관리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제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라 이러한 연구는 그의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위기관리 연구영역을 더욱 넓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이와 관련하여 길병옥 등은 컴퓨팅의 발전과 과학기술의 고도화로 정보흐름을 사전에 탐지하고분석하는 조기경보능력으로 위기예방이 상당히가능하게 되었다고 판단하고 국가위기관리체계의 확립을 위해 현실과 미래상황에 적합한 위기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시하였다.[7]2016년에 개최한 세계경제포럼(WEF) 이후제4차
3. 연구방법과 절차
4. 분석 결과
4.1 한국 정부의 위기관리 내부역량 분석
4.2 한국 정부의 위기관리 외부환경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원상 Choi Won-sang. 충남대학교 군사학과
  • 신진 Shin Jin.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