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plans for well-aging by investigat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by life cycle.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study, and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330 adults over 19 years of age registered at Gallup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3.11 points (SD=.72), health promotion behavior 2.27 points (SD=.47),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0.92 points (SD=.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r=.472, p <.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r=.122, p <.026).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and contents for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was the highest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p =0.001), and it was found that the mature stage was more likely to be aware of the level of knowledge, the need for education,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compared to the yout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rehensive customized program that i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when developing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well-aging.
한국어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안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한국갤럽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 성인 3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건강 상태는 3.11점(SD=.72), 건강증진행위는 2.27점(SD=.47),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92점(SD=.10)이었 으며,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 상태(r=.472, p <.001), 건강증진행위(r=.122, p <.026)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내용의 우선순위는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001), 장년기가 청년기보다 지식 정도, 교육의 필요도에 대 한 인식 및 교육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웰에이징을 위한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생애주기별에 따라 세분화 된 종합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증진행위,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
3.3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증진행위,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3.4 대상자의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경험
3.5 대상자의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
3.6 대상자의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교육내용 우선순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