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공공데이터 분석 기반 여성안전 시설지수 시각화 : 서울시 중심으로

원문정보

Visualization of women's safety facility index based on public data analysis : Focusing on Seoul

김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an index of women's safety facilities was created and visualized using public data related to Seoul. CPTED, the women's safety facilities index was crea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ight data related to the local women's safety index and five major crime victims of women.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of the female safety facility index and the number of female crime victims, three data were selected as the main factors, “CCTV,” “street lamps,” and “female security guardians”, which were found to be meaningful at the 95% level of reliability. The distinction women's safety facility index was calculated by weight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ain factors for calculating the women's safety facility index, and visualized using Python's Follium library.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와 관련한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여성 안전시설지수를 작성하고 시각화하였다. CPTED, 지역여성 안전지수 관련 8가지 데이터와 여성 5대 범죄피해자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여성 안전시설지수를 작성하였 다. 여성 안전시설지수 요소와 여성 범죄 피해자 수 간의 상관분석 결과 신뢰도 95% 수준에서 유의미하다고 결과가 나온 ‘CCTV’, ‘가로등’, ‘여성안심지킴이집’ 3가지 데이터를 주요 요소로 선정하였다. 여성 안전시설 지수 산출을 위한 주요 요소간의 상관계수를 이용해 가중치를 부여해서 구별 여성 안전시설 지수를 산출하고 파이썬의 Follium 라이브러 리를 이용해 시각화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CPTED와 여성안전지수
3. 여성안전 시설지수 분석 및 시각화
3.1 데이터 분석 방법
3.2 Folium을 이용한 지도 시각화
3.3 서울시 5대 범죄 여성 피해 현황 시각화
3.4 데이터 요소 선정
3.5 여성 안전시설 지수 산출 및 시각화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형균 Hyeong-Gyun Kim.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