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르트르(J.-P. Sartre)의 ‘현상학적 시간론’에 관한 고찰 : 의식에 있어서 시간성과 영원성의 선험적 관계

원문정보

J.-P. Sartre's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Temporal Theory : The a priori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eternity in consciousness

이창석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100집 2021.03 pp.391-41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orality and the eternity of Sartre's for-itself has a priori inner relationship. In Sartre, time is divided into fundamental temporality and psychological temporality. The former means that humans have appeared in this world, and the latter means that time is constructed through reflection. In other words, according to him, the center of temporality is reflection. However, sinc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o not exist independently, by reflection these three terms are connected ontologically to form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that is, the structure of being of for-itself. For him, the present is duration as for-itself, and this point is similar to that of Bergson, but in Bergson, temporality permeates due to continuity, but Sartre criticizes that this mutual invasion is only a "residency relationship." Rather, in Sartre, the present consciousness becomes the consciousness of the past, plans the future, and forms the whole of temporality. In Bergson, duration aims for a creative life toward the future, but in Sartre, for-itself always tries to approach the in-itself and become one. That is eternity and rest. However, for-itself continues without rest due to his act of nihilating. Therefore, from Sartre's point of view, Bergson's duration is bound to be an unfortunate consciousness.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사르트르의 대자의 시간성과 영원성의 관계가 선험적으로 내적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연구하는 데 있다. 그에게서 시간은 근원적 시간성과 심리적 시간성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인간이 이 세계에 출현한 것을 의미하고, 후자는 반성을 통하여 시간이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의하면, 시간성의 중심은 반성이다. 그런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반성을 통하여 이 세 항은 존재론적으로 연결되어 의식의 구조, 즉 대자의 존재 구조를 이룬다. 먼저, 그에게서 현재란 대자로서 지속이며, 이 점은 베르그송과 유사하다. 베르그송에게서 시간성은 지속으로 인해 상호침투하지만, 사르트르는 이러한 상호침투는 ‘거주관계’밖에 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오히려 사르트르에게서 현재의 의식이 과거의 의식이 되고, 미래를 기획하여, 시간성의 전체를 형성한다. 그런데, 사르트르에 의하면, 이러한 대자의 시간성은 즉자의 영원성과 선험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베르그송에게서 지속은 미래로 향하여 창조적 삶을 지향하지만, 사르트르에게서 대자는 언제나 즉자에 다가가 하나가 되고자 한다. 그것이 영원이고 쉼이다. 그러나 사르트르에 의하면, 대자는 자신의 무화적 행위로 인해 쉼을 얻지 못하고 지속한다. 따라서 사르트르의 입장에서 보자면, 베르그송의 지속은 불행한 의식일 수밖에 없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무화(néantisation)와 근원적 시간
3. 반성적 시간: 디아스포라(Diaspora)적 시간성
1) 의식의 현재성
2) 의식에 있어서 현재의 과거화
3) 의식에 있어서 미래의 현재화
4. 의식에 있어서 시간성과 영원성의 선험적 관계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창석 Lee Chang Suk. 부산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