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태극기의 원리와 易의 철학정신-K철학을 전망하며

원문정보

Philosophical spirit of the Korean national flag. Taegeukgi, from Yijing's perspective

이선경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100집 2021.03 pp.127-16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the principles of Taegeukgi and considers that the philosophical spirit of Taegeukgi has achieved the core of Korean thought and living culture from ancient times to today, and argues that it still has a valid meaning in the future. First of all, Yijing thought which the Taegeukgi contains, is not an exclusive property of a particular country or nation, but a universal philosophy of Northeast Asia. The owner's qualifications are not based on origin, but on the narrative that has been embodied in life and history. The complementary thinking of yin and yang, love of life, resistance to anti-life violence, and humanitarianism are consistent from Dangun mythology, to Choe Chi-won's Pungnyudo, Neo-Confucianism, Donghak's "people are the heaven.", and Jumgyerk. The representative symbol is the Taegeukgi. Koreans have lived their lives by deeply internalizing the idea of Taegeukgi. Today, when people around the world recognize the symbol of Korea as the Taegeuk mark, the representative of the Taegeukgi ideology is definitely Korea. Korean society, which has miraculously achieved material prosperity despite the colonial invasion, the Korean War, and the crisis of the IMF, is about to achieve a second miracle in terms of mental culture. As the core of Korea's long-standing history, the Yingyang thinking of the Taegeukgi is an excellent framework to explain Korea's potential for overcoming many crises. It contains humanistic values that must be recalled in seeking a K-philosophy that can spread beyond Korean society to universal values of mankind.

한국어

이 논문은 태극기의 원리를 중심으로 역(易)의 철학정신이 고대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상 및 생활문화의 골간을 이루어 왔음을 고찰하고, 여전히 미래지향적 의미를 지님을 주장한다. 먼저 역(易)은 특정한 나라나 족속의 전유물이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보편철학으로서, 그 주인의 자격은 내원(來源)이 아니라, 그 사상과 문화를 삶과 역사 속에서 구현해온 서사(敍事)에 달렸음을 논한다. 태극이 담고 있는 음양의 상생적 사유, 생명사랑[仁], 반생명적 폭거에 대한 저항[義], 천지인 삼재의 인도주의는 단군신화로부터, 최치원의 풍류도, 성리학의 인극론, 동학의 인내천, 한국의 역인 󰡔정역(正易)󰡕에까지 일관되어 있으며, 그 결정(結晶)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것이 태극기이다. 한국인은 개개인이 우주의 중심이자, 천지만물과 협력적 주체라는 태극의 인간론을 깊이 내재화 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삶을 살아왔다. 세계인이 한국을 상징하는 문양을 태극으로 인식하고 있는 오늘날, 태극사상의 대표자는 분명 한국이다. 식민침탈과 한국전쟁, IMF의 위기 속에서도 기적적으로 물질적 번영을 이루어온 한국사회는 이제 정신문화의 측면에서 제2의 기적을 이룰 시점이다. 한국의 유구한 역사 속에 담겨온 사상문화의 핵심으로서 역의 사유는 수많은 위기를 극복해온 한국의 저력을 설명할 수 있는 훌륭한 틀이며, 한국사회를 넘어 인류 보편적 가치로 확산할 수 있는 K철학을 모색함에 있어서 반드시 되짚어 보아야할 인문적 가치를 담고 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음양적 사유의 보편성과 한국사상문화의 핵심인자로서 역
1) 동북아시아의 보편사유로서의 역
2) 한국사상문화의 핵심인자로서 역
3. 한국사상의 미래로서 태극기의 원리
1) 자연의 리듬 : 태극은 생명을 살리는 자연의 마음, 인(仁)이다.
2) 인간주체의 핵[人極]으로서 태극
3) 더불어 살아감 ; 생명 살리는 마음[仁]이 인간의 본질이다
4. 나가는 말 : K철학을 생각하며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경 Yi, Suhn Gyoh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