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 (5)-식산 이만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Review of Critical Perceptions of Yang-Ming Studies by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5)-Focusing on the thoughts of Lee Man-Boo-

김희영, 김민재, 김용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 Ming Studies by Sik-san Lee Man-Boo. Through Lee Man-Boo’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Siksanjip(息山集)" he confirmed that the literature criticizing Yang-Ming Studies among his writings was as follows. Lee Man-Boo was negatively aware of Wang Su-in, and was also concerned about the negative impact Wang Su-In had on his juniors. It was inevitable for Lee Man-Boo to reject Wang Su-In, who established his own private system outside of Jeong-ju's theory, and criticize Yang-Ming Studies Lee Man-Boo. regarded Wang Su-In's studies as heresy, and even criticized him as Buddhism(禪學), not studying abroad. In addition, Lee Man-Boo'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concept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riticism of mind is principle(心卽理)." "Criticism of expanding and deepening of the innate good knowledge(致良知)." and "Criticism of the theory of loving the people(親民)." Lee Man-Boo confirmed that Wang Su-In criticized the original "mind is principle(心卽理)." "expanding and deepening of the innate good knowledge(致良知)" and "the theory of loving the people(親民)," while maintaining his self-centered 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al, it can be seen that Lee Man-Boo, a Confucian scholar of Joseon, thoroughly criticizes Yang-Ming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Zhujianism. This study alone does not fully identify the tendency of Joseon scholars to criticize Yang-Ming Studies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he could guess that he had read the transcript completely, and through this study, he was able to confirm that some of Lee Man-Boo's writings were criticized for Yang-Ming Stud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식산 이만부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만부의 문집인 『식산집』을 분석하여 그가 남긴 글 가운데 양명학을 비판하는 문헌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이만부가 양명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식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만부는 왕수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왕수인이 후학들에게 끼친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우려하였다. 이만부는 정주의 학설을 학문의 준칙으로 삼았기에, 그것을 벗어나 독자적 사유체계를 수립한 왕수인을 배척하였고, 따라서 양명학에 대해서도 비판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결과적으로 이만부는 왕수인의 학문을 이단으로 보았으며, 심지어 유학이 아닌 선학이라고 규정, 비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만부가 양명학의 요지를 학문적으로 비판한 부분과 관련해, ‘심즉리 비판’, ‘치양지 비판’, ‘친민설 비판’의 세 개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만부가 주자학적 입장에서 ‘심즉리’와 ‘치양지’, ‘친민설’에 대해 비판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이만부는 주자학자라는 학문적 정체성을 가지고 철저하게 주자학의 입장에서 양명학을 비판했던 것이다. 본 연구만으로 17-18세기에 걸친 조선 학계의 양명학 비판 경향을 완전히 규명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기존 연구들에서 밝혀지지 않은 이만부의 글 중에 양명학을 비판한 내용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양명학의 이단 규정
3. 양명학의 주요 개념 비판
1) 심즉리(心卽理) 비판
2) 치양지(致良知) 비판
3) 친민설(親民說) 비판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영 Kim, Hee 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 김민재 Kim, Min Jae.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부교수
  • 김용재 Kim, Yong Jae. 성신여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