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建窯의 “新窯”銘黑釉碗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원문정보

Some Issues on the black glazed bowl marked with “Xinyao(新窯)” of Jian ware

건요의 “신요”명흑유완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李喜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terials reviewed in this study include 11 pieces of the black glazed bowl marked with “Xinyao (新窯)” and 8 disk-shaped setters marked with “Xinyao (新窯)”, and most of them were first introduced in this study. All of them were presumed to be excavated either from the Luhuaping (蘆花坪) kiln site or from the Daluhoumenshan(大路後門山) kiln site. In the case of the black glazed bowls, these inscriptions of “Xinyao ” were marked on only the Shukou(束口)-type bowls of the same shape and size, and the disk-shaped setters marked with “Xinyao ” were used to set such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Xinyao ”. Since all the materials of the black glazed bowls and the disk-shaped setters marked with “Xinyao ” were not excavated through official excavations, the situations when they were excavated including the status of sedimentation were little know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oduction period of them. But,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Xinyao ”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black glazed bowls that were officially excavated, they seem to have been produced sometime in the late 12th century. Meanwhile,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Xinyao ” are highly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for royal use under the order of the palace of the Southern Song. In other words, they were the royal wares. The Jian kiln already presented the palace of the Song with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供御)” or “Jinzhan (進琖)” in the early 12th century. Later, they were no longer presented for royal use from the Jian kiln, and after some time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Xinyao ” started to be presented again for royal use in the late 12th century, which tells that the former were the old wares, that is, “Jiuyao (舊窯)” and the latter were the new wares, that is, “Xinyao (新窯)”. In this context, the latter seems to have been marked with “Xinyao ”.

한국어

曾凡이 건요의 “신요”명흑유완과 관련된 실물자료를 소개한 지 이미 20여 년이 지 났다. 하지만 이것에 관한 연구에는 거의 진척이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 을 타개하기 위하여 “신요”명흑유완과 “신요”명점병의 실물자료를 수집·분석하고 아울러 그 결과를 주요 토대로 “신요”명흑유완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은 실물자료는 11점의 “신요”명흑유완과 8점의 “신요” 명점병으로, 그 대부분은 필자가 처음 소개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모두 노화평요지나 대로 후문산요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된다. 흑유완의 경우, 특정한 기형과 크기의 속구완에 서만 “신요”명이 확인되며, “신요”명점병의 경우도 거의 균일한 크기의 “신요”명흑유완을 받치는 데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까지 파악된 “신요”명이 있는 흑유완과 점병의 실물자료는 모두 정식 발굴을 통하여 출토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퇴적관계 등을 포함한 출토상황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거의 없 는 편이다. 그러므로 그 제작시기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가 힘들다. 다만 “신요”명흑유완 의 기형적 특징을 파악하고, 그것을 정식 발굴된 흑유완의 그것과 비교해본 결과 12세기 후반의 어느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신요”명흑유완은 남송 궁정의 주문으로 제작된 어용자기일 가능성이 크다. 건요 는 이미 12세기 전반경에 “공어”·“진잔”명흑유완을 공어한 바 있는데, 이것의 공어가 중 단되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인 12세기 후반경에 다시 “신요”명흑유완을 공어하게 된 것 이다. 이 점에서 보면, 전자는 이전의 자기, 즉 舊窯가 되고, 후자는 새로운 자기, 즉 新 窯가 되는 셈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요”라는 명문을 표시하게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新窯”銘이 있는 실물자료의 현황
1. “新窯”銘黑釉碗
2. “新窯”銘墊餠
Ⅲ. “新窯”銘黑釉碗의 제작시기
Ⅳ. “新窯”銘黑釉碗의 성격 문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李喜寬 이희관. 獨立學者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