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禪門拈頌說話』 판본의 성립과정 고찰 - 새로 확인된 『拈頌畵足』, 『拈頌龜谷說話』, 『拈上堂』 판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Editions of the Seonmun-Yeomsong-Seolhwa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newly identified editions of Yeomsong-Hwajok, Yeomsong-Gugok-Seolhwa and Yeomsangdang -

조선후기 『선문념송설화』 판본의 성립과정 고찰 - 새로 확인된 『념송화족』, 『념송구곡설화』, 『념상당』 판본을 중심으로 -

徐秀晶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Yeomsong-Seolhwa edi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introducing the manuscript of Yeomsong-Hwajok and the woodblock prints of Yeomsong-Gugok-Seolhwa and Yeomsangdang, which were un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No transcript of Yeomsong-Seolhwa from the Goryeo Dynasty has been found so far. In the 1538 Woo Joo-ong’s preface in 1900s manuscript, the Selections from Yeomsong and Seolhwa, there is a record that Gakun, Hyesim’s disciple, compiled Yeomsong-Seolhwa which was printed and distributed by ChunGong in 1538. This edition, which appears to be the first published edition of Yeomsong-Seolhwa, is not current. Only the editions of Yeomsong-Seolhwa published by Walser Doan and Seolam Chubung at Seonjeongam Temple in Pyeongan-do in 1685 and Neunggasa Temple in Jeolla-do in 1707 have been handed down. Among the current texts related to the Yeomsong-Seolhwa, the Yeomsong-Hwajok was written by Byeoksong Jeom in 1512, and is the oldest manuscript. The newly identified the Yeomsong-Gugok-Seolhwa and the Yeomsangdang are presumed to have been published in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Jeolla Province, around in 1600, and the author was recognized as Gugok Gaku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all the current original texts on the third law, Enlighten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Yeomsong-Seolhwa in 1685 was published by combining the original versions of Yeomsong-Gugok-Seolhwa as the annotation of the Law and the Yeomsangdang as the annotation of the lyric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Yeomsong-Hwajok may be the closest text to the original writing of Gakun.

한국어

본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필사본 『拈頌畵足』과 목판본 『拈頌龜谷說話』와 『拈上堂』의 판본 을 소개함으로써, 조선후기 『拈頌說話󰡕 판본의 성립과정을 고찰했다. 『염송설화』의 고려시대 전본은 지금까지 발견된 적이 없다. 1900년대 필사본 『拈頌及說話選編』에 실린 1538년 宇宙翁의 발문에서 ‘慧諶의 제자인 覺雲이 『염송설화』를 편찬했으며, 天公에 의해 판각되어 유통되었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염송설화』의 최초 간행으로 보이는 이 판본은 현전하지 않는다. 1685년 평안도 선정암과 1707년 전라도 능가사에서 月渚 道安과 雪岩 秋鵬 에 의해 간행된 판본만이 전해진다. 『염송설화』와 관련된 현전본 중 『염송화족』은 1512년 碧松 智儼이 쓴 것으로, 가장 오래된 寫本이다. 이번에 새로 확인된 『염송구곡설화』와 『염상당』은 1600년 전후로 전라도 순천 송광 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자를 고려말 龜谷 覺雲으로 인식하고 있다. 『염송설화』에 수록된 제3칙 「悟道」편의 원문을 현전본별로 對校한 결과, 1685년에 간행된 『염송설화』는 本則에 대한 해석으로 이루어진 『염송구곡설화』와 頌에 대한 해석으로 이루어진 『염상당』을 회편하여 간행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염송화족』이 각운의 본래 저술과 가장 가까운 텍스트일 수 있다는 추론을 제기해 본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禪門拈頌』과『拈頌說話』의 현존 판본
2.1 慧諶의 『禪門拈頌』
2.2 覺雲의 『拈頌說話』
3. 『拈頌說話』와 관련 판본
3.1 『拈頌畵足』
3.2 『拈頌龜谷說話』
3.3 『拈上堂』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徐秀晶 서수정.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ABC)사업단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