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옥재서적목록의 서지적 분석

원문정보

A Bibliographical Study on Catalogue of Books in Jibokjae

이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Jibokjae (集玉齋), known as King Gojong’s library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basic study on a bibliographic analysis of the Catalogue of books in Jibokjae (集玉齋書目). For an in-depth report on Jibokjae as a library, we have to approach a basic study of the lists. So this study figured ou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atalogue of books in Jibokjae, and the order in which the titles are listed. I also analyzed how to write titles, names, volumes and general notes. Finally, I compared differences of tiltes and volumes in 5 type lists, and distinguished an edition of 5 type lists and issued date. Based on this study we can see how books were managed in the royal library especially jibokjae, by looking at the way in which they were compiled.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clue for identifying the Royal library (帝室圖書館).

한국어

고종의 서재로 알려진 집옥재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기초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집옥재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의 일환으로 집옥재서목을 서지적으로 분석 하였다. 현존하는 5종의 집옥재서적목록의 현황을 파악하고, 서명의 수록 순서나 서명․저자․소장본․주기사항 을 표기하는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5종의 서목에서 나타나는 서명의 변화와 장서 종/수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작성 시기와 순서 등을 살펴보았다. 집옥재서목을 작성했던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에서 궁궐 내 서적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었는지를 단편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실도서관을 파악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집옥재서목의 현황
3. 집옥재서목의 목록 기술 방식
4. 집옥재서목 별 수정 현황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혜정 Lee, Hyejung.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