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이전 유마경의 전래와 간행

원문정보

The Introduction and Publication of the Vimalakirti Sutra in the Pre-modern Era

이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Vrimalakirti Sutra which was introduced and published in the pre-modern era. During the Silla Period, commentaries on the Vimalakirti Sutra were produced. It is said that Wonhyo wrote Doctrinal Essentials of the Vrimalakirti Sutra (維摩經宗要) and Summary Notes on the Vrimalakirti Sutra (維摩經略贊), Kyeongheung wrote Commentary on the Scripture of the Stainless Name (無垢稱經疏), and Dunryun wrote Collected Essentials of the Vrimalakirti Sutra (維摩經料簡), but they do not exist today.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seems that Uicheon the National Preceptor of Grand Enlightenment included Anthology of Commentaries on the Vrimalakirti Sutra in the Catalog of the Buddhist Canon and made woodblocks. Its replica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still exists today. In addition, translations of the Vrimalakirti Sutra by Zhi Qian, Kumārajīva and Xuanzang are included in Tripitaka Koreana. The new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rimalakirti Sutra originated from Jiaxing Tripitaka, which contained the Vrimalakirti Sutra, discovered in 1681 in a Chinese merchant ship that landed on Imjado Island. Among the Buddhist writings from the Jiaxing Tripitaka sent to the royal family, King Sukjong read the Vrimalakirti Sutra translation by Zhi Qian and presented it to his secretary Lim Sangwon. Later, Chowon Lee Chung-ik transcribed the translation of the Vrimalakirti Sutra by Kumārajīva from Tripitaka Koreana and analyzed it in contrast to the Vrimalakirti Sutra given by King Sukjong. Later, in 1854, Yu Seong-jong published a new version of Direct Commentaries on the Vrimalakirti Sutra (維摩詰所說經直疏), which was obtained from China. In 1874, a Korean translation the Vrimalakirti Sutra was published by an anonymous.

한국어

본고는 전근대에 전래되고 간행된 유마경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신라시대에 유마경에 대한 주석서가 저술되었는 데, 원효는 『維摩經宗要』와 『維摩經略贊』을 저술하고, 경흥은 『無垢稱經疏』, 둔륜은 『維摩經料簡』을 저술했다고 하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이 교장 목록에 『정명경집해관중소』를 포함시키고 판각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초기에 복각된 것이 현재 남아 전한다. 그리고 고려대장경에 支謙, 鳩摩羅什, 玄奘의 번역본이 수록되었다. 유마경의 새로운 전래와 유통은 1681년 임자도에 표착한 중국 상선에서 발견된 가흥대장경의 유마경에서 비롯되었다. 왕실에 보내진 가흥장의 불서들 가운데 숙종이 지겸 번역의 유마경을 읽다가 승지 임상원에게 하사하였고, 그 유마경을 훗날 초원 이충익이 고려대장경의 구마라집 번역본을 寫經하여 대조해서 읽었다. 이후 1854년 유성종이 중국에서 구해온 『維摩詰所說經直疏』를 새로 간행하였고, 1874년에는 간행 주체를 알 수 없는 한글 번역본 『유마소 셜경』이 간행되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신라∼조선전기 유마경의 전래와 유통
3. 조선후기 유마경의 전래와 발행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종수 Lee, Jong Su. 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