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御定大學類義』의 편찬과 간행 및 반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Compilati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ojeongdaehagyuui

『어정대학유의』의 편찬과 간행 및 반사에 관한 연구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litera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by revealing in detail the contents of the compilati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ojeongdaehagyuui,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actual research. To this end, the compilation of Eojeongdaehagyuui revealed the editor and the compilation process by investigating the Hongjaejeonseo and existing studies.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ojeongdaehagyuui was examined in detail about the publication process and distribution contents by examining the records of Soonjosilrok and Ilsungrok, existing studies and existing tex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eongjo revealed some guidelines on the compilation in Jedaehagyuui.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Eojeongdaehagyuui continued from the time of the Crown Prince until 23 years (1799). Jeongjo received opinions from the Daehak articles for Chogyemunsin from 5 years (1781) to 11 years (1787). Also, the contents of Daehak, which 11 scholars asked and answered directly by himself, were compiled as Gosik in 18 years (1794), and in 23 years (1799), Yun Haeng-im and elaborate contents were compiled as Jeungjeonchulog. Jeongjo marked the bijeom (red point) and collected the most important and subtractive content from the two books, Daehakyeonui and Daehakyeonuibo. In the 5th year (1781), Daehakyeonuibo was completed, and in the 11th year (1787), Daehakyeonui was completed. Jeongjo marked the Kwonjeom in 20 years (1796), and it was Lee Man-soo and Yun Haeng-im who participated in making the Kwonjeom. In the 23rd year of King Jeongjo (1799), Seo Hyung-su and Yun Gwang-an under the name of the king were re-edited and compiled, Jeongjo compromised the opinions of the two and decided on the contents of the correction, and compiled two volume of Yuuipyeonglye. In this way, the first drafts of the bijeom and gwonjeom text of Eojeongdaehagyuui copied by Chogyemunsin and Kyujanggak and his aides were in charge of the first correction. The second correction was carried out by Honam Gonglyeongsaeng, and the third correction and compilation were carried out by Seo Hyung-soo and Yoon Gwang-an. Manuscripts of Eojeongdaehagyuui were completed in the 23rd year of King Jeongjo (1799), but were not published. The manuscript was edited on May 30 in the 2nd year of Soonjo (1802) for the publication of Eojeongdaehagyuui, but it is believed to have been edited as a book for publication. This book has been compiled into 1 volume, 21 volumes totle 22 volumes, and 10 books. On September 18, the 5th year of Soonjo (1805), 150 cases of Jeongjo’s Eojeongdaehagyuui were printed as Saengsaeng wood type. On October 16, the 5th year of Soonjo (1805), a total of 149 cases were first distributed. On November 27th in the 5th year (1805), Sunjo distributed one case of Eojeongdaehagyuui printed on Korean paper to 30 servants. and on February 7, in the 8th year of Sunjo (1808), at the request of Gyeongsang Governor Yoon Gwang-an, one case of Eojeongdaehagyuui was distributed. This study obtained very meaningful results in the fields of bibliography, records management and history.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ose who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Jeong and Sunjo era.

한국어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및 실물조사를 활용하여 『어정대학유의』의 편찬, 간행 및 반사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혀 서지학분야 문헌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어정대학유의』의 편찬은 『홍재전서』 및 기존 연구를 조사하여 편찬자 및 편찬과정에 대해 밝혔다. 『어정대학유의』의 간행 및 반사는 『순조실록』, 『일성록』의 기록, 기존 연구 및 현존본을 조사하여 간행과정 및 반사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정조는 편찬자로서 「제대학유의」의 편찬에 관한 몇 가지 지침을 밝혔다. 정조가 『어정대학유의』를 편찬하는 과정은 왕세손 시절부터 재위 23년(1799)까지 계속되었다. 정조는 5년(1781)부터 11년(1787)까지 초계문신을 대상으로 『대학』의 조문을 내려 본인이 의심스럽게 생각한 것에 대한 의견을 받았다. 또한 그는 11명의 문신이 묻고 본인이 직접 대답한 『대학』의 내용을 18년(1794)에 『고식』으로, 23년(1799)에는 각신 윤행임과 문대한 내용을 『증전추록』으로 편찬하였다. 정조는 『대학연의』와 『대학연의보』의 두 책에서 가장 긴요하고 감계가 될 만한 내용을 붉은색으로 비점을 쳐서 채집하고 정조 5년(1781)에 『대학연의보』를, 11년(1787)에 『대학연의』의 비점을 마쳤다. 정조는 20년(1796)에 다시 권점을 찍었는데, 이때 참여한 이는 각신 이만수와 윤행임이다. 정조 23년(1799)에 서형수와 윤광안이 왕명을 받들어 다시 교열하여 편찬하도록 하는데, 정조가 두 사람의 의견을 절충하고 교열에 대한 내용을 결정하여 『유의평례』 2권을 편집하였다. 이와 같이 『어정대학유의』는 초계문신들에 의해 비점 및 권점본 초안이 필사되었고, 내각과 근밀제신들이 초교를 담당하였다. 재교는 호남 공령생들이 담당하였고, 삼교 및 편찬은 서형수와 윤광안이 담당하였다. 정조 23년(1799)에 필사본이 완성되었지만 간행되지 않았다. 『어정대학유의』의 간행을 위해 순조 2년(1802) 5월 30일 필사본이 편집되었는데 간행을 위한 저본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권수 1권, 본문 21권, 총 22권 10책으로 편집되었다. 순조 5년(1805) 9월 18일 정조의 『어정대학유의』 150건이 생생자로 인쇄되었다. 순조 5년(1805) 10월 16일에 『어정대학유의』 총 149건을 1차 반사하였고, 순조는 5년(1805) 11월 27일에 일부 신하들 30명에게 백지에 인쇄한 『어정대학유의』를 각 1건씩 2차 반사하였으며, 순조 8년(1808) 2월 7일에는 경상감사 윤광안의 요청으로 경상감영의 낙육재에 내부에 소장되어 있던 『어정대학유의』 1건이 반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지학, 기록관리학 및 역사학 분야에서 매우 유의미한 결과들을 얻었다. 이 결과는 정ㆍ순조 시대의 문헌사를 연구하는 이들에게 기초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어정대학유의』의 편찬
2.1 편찬자
2.2 편찬과정
3. 『어정대학유의』의 간행
4. 『어정대학유의』의 반사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 Ae.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 인문학부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