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東塢 曺毅坤의 처사적 삶과 天理 志向 양상

원문정보

A study on Dongo Jo Euigon’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his pursuance of the natural law

동오 조의곤의 처사적 삶과 천리 지향 양상

이형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fucian ideas of Confucius and Mencius in Jin period were systematized as Neo-Confucianism in Song dynasty and it compatibly established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human nature, attitude of cultivation, etc.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in Neo-Confucianism is to reach truly cultivated self in harmony of education and learning(敎學) and practice(實踐). The secluded scholar, one of Neo-Confucian human characters, is one who does not take up a public office but put his efforts into study and foster younger scholars in the wilderness. The life of that secluded scholar is to face up squarely to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and pursue true cultivation, faithfully fulfilling his duties as a scholar. Dongo Jo Eui-gon(東塢 曺毅坤)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19th century followed study of Gi Jeong-jin(奇正鎭) but did not seek speculative theories. He led hi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strived to propagate Nosa study in his hometown. His secluded lifestyle is particularly based on a principle that “fond of goodness and thus no neglect of it, pursuing the law of nature at ease and returning to the righteousness.” This principle firmly demonstrates his attitude to fulfill the natural law by investigating the reason and realizing ‘sincerity and faithfulness’ through his internal self-awareness. This study is on Dongo Jo Euigon’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his pursuance of the natural law. Making the most of quotations from 『Dongoyugo(東塢遺稿)』, the paper examines his scholarly attitude, secluded lifestyle, stress on the Neo-Confucian basis and natural law, directivity towards cultivation and righteousness and; teaching to younger scholars.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to look into Jo Euigon’s ideas and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Nosa School in Gochang region.

한국어

19세기에 활약한 동오(東塢) 조의곤(曺毅坤)은 16세 때 기정진(奇正鎭)에게 수학하면서 과거공부를 지향하지 않고 성현을 독실하게 믿고 의리를 추구하였다. 특히 “총명은 둔한 붓만 못하다”는 격언을 그대로 발휘하여, 스승에게 보고 들은 언행과 가르침 등을 기록하며 학문에 매진하였으니, 75조목으로 이루어진 『강상차록(江上箚錄)』이 그것이다. 조의곤은 사변적 이론보다는 향리에 세운 동오정에서 처사로서의 삶을 지향하며 노사학 보급에 힘썼다. 그의 처사적 삶은 “선을 좋아하여 게을리 하지 않고 편안히 천리(天理)를 행하면서 바른 도로 돌아간다”는 신념에 의한 것이다. 그 신념이 바로 천리를 중시하는 태도는 향도적(向道的) 처사의 삶이었다. 특히 그의 천리(天理)와 지리(地理)가 동일하다는 논지는 산의 혈과 맥의 정기에 의거하여 부귀복수(富貴福壽)를 누리고자 하는 풍수지리의 잘못된 관행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그 이론의 근저에는 이치를 궁구하면서 ‘정성[誠]과 신실함[信]’이란 내면적 자각을 통해 천리를 실현하려는 자세가 깃들어 있었다. 그는 이러한 학적 체계와 삶으로 향리에서 후학을 양상하였다. 이 글은 동오 조의곤의 처사적 삶과 천리(天理) 지향에 대한 양상이다. 본 글의 전개는 그의 저서 『동오유고(東塢遺稿)』를 최대한 원용하여, 종사차록(從師箚錄)과 처사의 주체적 삶, 성리학 기저(基底)와 천리 중시, 향도적 실천과 후학 양성 등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從師箚錄과 처사의 주체적 삶
Ⅲ. 性理學基底와 天理중시
Ⅳ. 向道的實踐과 後學養成
Ⅴ. 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형성 Lee, Hyung-sung.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학술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