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학으로 역사쓰기 ― <화사>의 역사서 형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Writing History with Literature : Focusing on the History Form of Hwasa

박혜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vealed the aspect and meaning of Hwasa’s historical style written by Imje in 16th-century. "Hwasa" is written in small letters like "Tonggam Gangmok" published by King Sukjong, and the gang and mok are written one space lower. and then wrote an historical essay one space lower than mok. In the distribution of "Hwasa", both the gank and mok and the historical review were important factors. By the time of King Seongjong's reign, the chronoiogical form of historiography Tongsa of Tongguk was completed, and the historical review was emphasized in the "Seongjong Silok," the official history. The history books that influenced this were the Zizhi Tongjian Gangmu, and Sarim was the leader of the history of the Seongjong period. They tried to criticize reality through their personal opinions. It is noteworthy that the Sejo Shillok and other historical books were distributed during King Jungjong's reign and were read by intellectuals, and above all, they are criticizing the regime of Sejo harshly. Imjae lived in an era when history, which Saerim considers to be historical truth, was not official history. He is a parody of a fictional history book, a reproduction of it as a criticism of official history.

한국어

<화사>의 형식인 ‘역사서 체재’는 소설의 서사성을 떨어뜨리는 결점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문학과 역사의 결합은 중세문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문(文)⋅사(史)⋅철(哲) 통합적 글쓰기는 가전체소설 작품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화사>의 문학성과 소설사적 의의는 사서체재를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화사>의 역사서 형식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화사>의 선본인 백호문집본과 조선시대 간행된 역사서 󰡔자치통감강목󰡕을 비교했고, 작가 임제의 정치적 태도와 역사인식을 살폈다. 이는 ‘가전체소설의 역사서 형식 연구’의 일환이기도 하다. <화사>의 이본은 대다수가 강목체로 적혀있었다. <화사>는 작은 글자로 강과 목을 쓰면서 들여쓰기의 차등을 두어 강⋅목⋅사론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숙종대 간행된 󰡔자치통감강목󰡕과 흡사했다. 다만 ‘목에서 사론의 분리’에서 차이가 났다. 이상 <화사>의 ‘강목체 사용과 사론 부각’은 조선시대 역사학의 발달과 관련이 있었다. <화사>의 작가 임제는 사림이 ‘역사적 진실이라고 여기는 역사’가 공식역사가 아닌 시대를 살았다. 성종대 공식적으로 사림은 사학을 주도하며 현실 비판의 도구로 사론을 사용했고, 비공식적으로 남효온은 정사(正史)에 대항하는 야사(野史) <육신전>을 써냈다. 이것이 임제가 가상 역사서를 창작한 배경이다. 하지만 문학을 선택한 점이 남다르다. <화사>에는 역사 쓰기에 관한 문제의식이 담겨있다. 임제는 <화사>를 통해 역사적 진실을 밝히려 하지 않았고 당대 역사서를 패러디하여 공식역사서를 비판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조선시대 강목체 위상과 역사서 편집방식
Ⅲ. <화사>의 강목체 양상과 패러디적 면모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민 Park hye-min. 단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