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북한이 지향하는 여성상 비교 : 정부간행 잡지기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ison of Reference Types of Women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ing on Articles Published by Government Magazines

신형덕, 박주연, 유남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reference types of woman between liberal and socialist societies. Women’s right movements, or Feminism, have developed since 1840’s aiming to free gender roles in those societies. However, due to different political orienta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direct comparisons of reference types of women between those societies have been done. Taking the benefits of the common cultural backgrounds and a political unity before 1945 among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this study was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Based on 161 magazine articles published in and , which were published in 2014-2018, we analyzed women’s images that are oriented in the inter-Korean society, respectively. These magazines are government publica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are published about women with prominent soci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articles corresponding to each standard was analyzed using four criteria for selecting the winners of the Women’s Association Council in South Korea and four criteria for North Korea to refer to as desirable North Korean women in the Women’s Alliance Protocol. Using government- issuing magazine articles, this study compared South and North Korean reference types of women directly, and found that self-initiativeness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in common in two societies. However, for the second-most important virtue, South Korean society found women’s capability and North one found women’s educational duty.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erms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related to social gender roles. The flow of research on social gender roles centered on feminism theory has been followed by liberal feminism that formed the first wave of feminism (1840-1920s), socialist/ progressive feminism that formed the second wave (1960-1990s), and postmodernist feminism that formed the third wave (1990s). This trend shows the difference in the study of social gender roles formed in liberal and socialist countries, where history and culture differ. But feminism studies in different social system of direct comparison is not easy due to the ways of different history and culture. However, this study based on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y, which shared the same history and culture before modern times, suggests an example of how feminist issues affect the social system of liberalism and socialism.

한국어

본 연구는 자유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에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여성상에 대해 남한과 북한 사회의 자료를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고착된 사회적 성역할에서 벗어나서 여성의 권리 향상을 추구 하는 흐름은 1840년대 이후 페미니즘의 조류를 통해 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체제를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그러나 두 체제의 상이한 정치적 지향성과 분석 대상 국가의 역사적 상이성 등으로 인해 자 유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의 바람직한 여성상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연구는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본 연구는 분단 이전까지 동일한 정치적 체제를 공유했고 지금도 유사한 문화와 정서를 공유하고 있는 남한과 북한 사회에서 바라보는 바람직한 여성상을 각 사회의 정부간행 잡지 수록기사를 중심으로 비교 했다. 사회적 활동이 두드러지는 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사화한 남한과 북한의 정부간행물인 <조선 녀성>과 <위클리 공감>에 2014년-2018년에 발표되었던 161개 (남한 62개, 북한 89개) 잡지기사를 기반 하여 남북한 사회에서 지향하는 여성상에 대해 조사했다. 특히 여성상의 기준으로서 남한의 경우는 여성 단체협의회의 수상자 선발기준 네 가지를, 북한의 경우는 여성동맹규약에서 바람직한 북한 여성상으로 언급하는 네 가지 기준을 사용하여 각 기준에 해당하는 기사의 분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러 덕목 중 에서 남한과 북한은 공통적으로 여성의 적극성과 주도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두 번 째로 중시하는 덕목으로서 남한의 경우 여성의 능력을, 북한의 경우 양육의 책임을 강조하는 것을 발견 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성역할과 관련된 비교문화 연구의 차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페미니즘 이론을 중심으로 진행된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흐름은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페미니즘 의 제1의 물결(1840~1920년대)을 형성했던 자유주의 페미니즘, 제2의 물결(1960~1990년대)을 형성했던 사회주의/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제3의 물결(1990년대 이후)을 형성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페미 니즘으로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와 문화가 상이한 자유주의 국가들과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각 각 형성된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차이를 보여주는 반면에, 상이한 사회체제에서의 페미니즘 연구 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역사와 문화의 상이함으로 인해 쉽지 않다. 그러나 근대 이전까지 동일한 역사와 문화를 공유했던 남한과 북한 사회를 기반으로 한 본 연구는 페미니즘의 이슈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라 는 사회 체제에서 받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흐름
2.2 사회체제와 사회적 성역할: 남한과 북한의 비교
Ⅲ. 남북한 여성상
3.1 남한이 지향하는 여성상: 능동적 역할과 사회적 성취
3.2 북한이 지향하는 여성상: 혁명적 현모양처
Ⅳ. 남북한 여성상 분석모델
Ⅴ. 사례 분석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신형덕 Hyung-Deok Shin.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박주연 JooYeon Park.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강사
  • 유남원 NamWon You.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