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언택트 환경을 위한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TCM) 전략 연구 - 디자인 학과의 활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rans Communication Model Strategy for Untacted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Design -

최보윤, 장동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Trans-Communication Model' fitting for the non-contact era based on the 'trans-media' theory, where the existing theory should be changed as the non-contact era begins. The TCM consisted of four types, Trans Interaction(T.I), Trans Emotions(T.E), Trans Collaborative Creation(T.C), and Trans Digital Contents(T.C), and established strategies and detailed configurations through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I must enable communication through the use of new technology and platforms based on the function of contact. T.E features properties of code, a metalinguistic function of messages, and the user accepts messages through content that’s experienced online and offline. T.C involves the user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message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content or the platform. As the content referring to the messages, T.D must be provided by using and digitizing new technologies suited to the content. The TCM was all connected organically, indicating that it affected each other. Ultimately, the TCM strategy can provide a more powerful experience to the user than when each element is use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oles.

한국어

언택트 시대로 진입하면서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이 더욱 확장되어 기존의 트랜스 미디어 이론의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또한 비대면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트랜스 미디어 이론을 바탕으로 언택트 시대에 알맞은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TCM)’의 다차원적인 상호작용(T.I), 다차원적인 감정(E.I), 다차원적인 협력적 창조(T.C), 다차원적인 디지털 콘텐츠(T.D) 네 가지의 4T 구성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전략과 구성을 정립하였다. 연구 결과 T.I는 접촉(Contact)의 기능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을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야한다. T.E는 메시지의 상위 언어적 기능인 코드(Code)의 성격을 가지며 사용자는 온・오프라인에서 경험하는 콘텐츠를 통해 메시지를 받아들인다. T.C는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나 플랫폼 제작에 참여를 하여 메시지의 맥락(Context)을 이해하는 것이다. T.D는 메시지(Message)를 뜻하는 콘텐츠이며 콘텐츠에 알맞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화하여 제공해야한다. 각 사례마다 TCM의 네 가지 요소 중 강하거나 약하게 나타난 요소는 있었지만 T.I, T.E, T.C, T.D는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로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TCM 전략은 각 요소들이 각각의 역할에 맞게 효과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보다 강력한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2. 언택트 시대의 트랜스 미디어(TM)
3.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TransCommunication Model, TCM)의 개념 및 구성
3.1.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TCM)의 개념
3.2.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TCM)의 구성
4. 트랜스 커뮤니케이션 모델(TCM) 활용 사례
4.1. 사례 선정기준과 분석의 틀
4.2. 로열멜버른공과대학교(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4.3. 자예드 대학교(Zayed University)
4.4.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4.5. 파슨스 디자인 스쿨(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4.6. TCM 전략을 활용한 사례조사 결과
5. 결론 : TCM 전략 제안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보윤 Choi Bo Yun.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 전공
  • 장동련 Chang Don Ryun.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