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계학논문

牛溪 性理學의 哲學的 脈絡과 指向點

원문정보

Seong Hon's Philosophical Context and Orientation on Neo-confucianism

우계 성리학의 철학적 맥락과 지향점

김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research for Ugyae(牛溪) Seong Hon( , 1535∼1598)'s th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There are many studies of Ugyae's Neoconfucianism, but I think they have not yet reached the stage of research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Ugyae's Neo-confucianism, away from the structure of Toegye( ) and Yulgok( )'s Neo-Confucianism. Focusing on how to secure the perspective and position of Ugyae independently, I analyzed the nature of the debate with Yulgok and what Ugyae's position, the Southern Song and The Yuan Dynasty's Neo-Confucianist's understanding about theory of dichotomy between Human-Mind and Morality-Mind what Ugyae was emphasizing, and what Ugyae was pursuing before the debate with Yulgok. This approach led to several conclusions, it is as follows. First, Ugyae's Neo-Confucianism has inherited the basic flow of Neo-Confucianism since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he has emphasized the theory of Self-Culture. Second, Ugyae was in a philosophical situation that contradicted Li( ) & Qi ( )'s worldview that emerged after Yi Hwang, accepting and affirming thought Separate Understanding of Four Clues( ), Seven Emotions( ) and Human-Mind( ), Morality-Mind( ) by Li & Qi. Third, it was an important feature of Ugyae's Neo-Confucianism that emphasizing the field of moral and self-culture on the position of maintaining mutuality between The Theory of Self-Culture and The Theory of Li & Qi.

한국어

본고는 우계 성혼의 성리학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 물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퇴계와 율곡 성리학에서 벗어나 우계 성리학의 특징 을 확고히 드러내는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어떻게 하면 우계 성리학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면서, 율곡과 논 쟁의 성격과 우계가 추구한 입장이 무엇인지, 우계가 강조한 인심⋅도심의 양 변설에 대한 주자 이후 남송⋅원대 학자들의 입장이 어떠했는지, 율곡과 논쟁 하기 전의 우계가 추구하던 학문의 방향성이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우계 성리학에 대한 몇 가지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우계 성리학은 남송 이후 성리학의 기본 흐름을 계승하 고 있으며, 도덕적 자아완성에 목표를 두면서 수양론⋅공부론을 중시했다는 특징을 지닌다. 두 번째는 우계는 남송 말⋅원대 정립된 인심⋅도심, 사단⋅칠정을 이기로 분속시키려는 사유를 수용⋅긍정하면서, 퇴계⋅율곡에 의해 부각된 이기론적 세계관과 모순된 철학적 상황에 직면하였다. 세 번째는 이러 한 조선 성리학의 상황에서 우계는 심성론⋅수양론의 영역과 이기론 영역의 상호성을 유지하면서도 도덕적⋅윤리적 측면을 우선하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 세 가지 점들은 우계 성리학 이해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해주며, 향후 학문 의 차별성⋅독자성을 확립하는 데에 주요한 방향성을 제공할 것이다.

목차

논문 초록
I. 글머리
II. 牛溪의 觀點에서 본 栗谷과 論爭의 성격
III. 牛溪 이전 四端·七情, 人心·道心의 兩邊說
IV. 牛溪 性理學의 指向點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수 Kim, Hyunsoo.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