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ends of Cosmetics through Big Data Analysis - Focusing on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초록
영어
Cosmetics are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the consumption environment and trends, and we want to understand the cosmetics market and consumer needs that have changed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herefore, using big data analysis, we tried to examine the trends of cosmetic trends by dividing them into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collection period of big data was selected as the period for each one year in 2019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in 2020 in which the outbreak of COVID-19 is in progress, and data was collected. The collection channels were ranked 1st and 2nd on the portal site, "Naver" and "Daum", and the collection range was collected through blogs, news, and cafes. The keyword necessary for data collection was selected as'cosmetics' to analyze related big data, and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used. As for the effect on cosmetics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basic cosmetics and ingredients for the skin was generally highly interconnected and interest in ingredient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and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smetics brand and the cosmetics industry was weakened, indicating that interest in the cosmetics industry was somewhat weakened. It is expected that the trend of cosmetic trends examined through big data analys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rporate strategy establishment in the future.
한국어
화장품은 소비 환경과 트렌드에 민감한 제품으로 코로나19 발병으로 인해 변화된 화장품 시장과 소비 자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발병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화장 품 트렌드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빅데이터의 수집기간은 코로나19 발병 이전인 2019년과 코로나19가 발병하여 진행 중인 2020년 각 1년간을 기간으로 선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 채널은 포털 사이트 순위 1위와 2위의 “네이 버”와 “다음”으로 하였으며, 수집범위는 블로그, 뉴스, 카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에 필요한 키워드는 ‘화장품’으로 선정하여 관련 빅데 이터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 결망 분석을 활용하였다. 코로나19 발병으로 화장품에 미친 영향은 피부를 위한 기초화장품과 성분에 대한 관심은 전반적으로 상호 연결성이 강하고 성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화장품브랜드와 화장품산업 에 대한 연결성과 연결강도가 약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화장품산업에 대한 관심은 다소 둔화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살펴본 화장품 트렌드의 변화 추이는 향후 기업의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 기를 기대해본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빅데이터 정의와 특성
2.2. 빅데이터와 소셜미디어 분석
2.3. 빅데이터 분석 방법
2.3.1. 텍스트마이닝 분석
2.3.2. 의미연결망 분석
3. 연구방법
3.1. 분석대상 및 자료 수집
3.2. 분석방법 및 절차
4. 분석결과
4.1.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4.2.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