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국토정책 분야에서 인권 담론 형성을 위한 인권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 for Human Rights Discourse in National Territorial Policy

이영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atial policy at national level has been oriented to human rights, as it pays attention to the ideas of the ‘inclusive city’ and ‘the right to the city’ as the new agenda of Habitat III. The public sector implementing the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 (HRIA)’ since 2019 can be in line with the aforementioned direction. This paper analyzes human rights included in the HRIA, and elaborates these rights to be respected, protected, and fulfilled towards spatial ‘justice as fairness.’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building a just society through national territory policy, in which human rights are more concreted and adopted as main targets to achieve. Based on ‘justice theory’ by J. Rawls, the direction for spatial justice is explored and,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state is emphasized. This paper draws some implications for fair national territorial policy critically analyzing the HRIA about the projects implemented by the public sector; the HRIA should consider to include the underprivileged groups and expand the types of human rights. This paper also suggests building a rationale for impartial judgement about conflicts between primary rights (such as rights to liberty and social rights) by adopting ‘difference principl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e thorough process of argument can form a social consensus in the national territorial policy.

한국어

최근 도시에 대한 권리, 포용도시 등 인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인권 보장을 위한 제도 도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공공기관의 인권영향평가가 이루어 졌다. 본 논문은 국토 분야 공공기관 사업 인권영향평가의 내용과 방법을 비판적으로 분석 함으로써, 국토 분야에서 실현되어야 할 인권 범위에 관한 논의와 공정한 인권 보장 방법 을 담아내는 인권영향평가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인권영향평가가 국토정책 분야에서 인 권 담론 형성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은 롤스의 정의론에 근거해 공간 정의 실현 방향을 제시하고, 인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 시각에서 볼 때 현재의 공공기관 사업 인권영향평가는 국토 분야에서 인권 논의를 할 수 있는 제도적 틀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분야에서 특정 계층만을 대상으로 하며, 단순한 형태의 평가방법임을 지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권 보장의 기준 이 되는 기본재 개념을 적용하여 이해관계자의 범위와 인권의 유형을 최소한의 자유권에 서 사회권으로 확대하고, 추상적 인권 개념을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 중 국토 분야의 기본 권으로 구체화하였다. 또한 국가의 인권 보장 방법으로, 취약계층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차 등의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공정함을 증명하기 위한 논증절차를 거쳐야 하며, 기본권 간 상충이 생길 경우 비례성의 원칙을 적용해 다수에게 공평함을 유지하기 위한 의 무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인권과 공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인권과 공간
2) 공정으로서의 정의와 적극적인 국가의 역할
3) 소결
3. 공공기관 인권영향평가 분석
1) 인권영향평가란?
2) 국토정책 분야 공공기관의 사업 인권영향평가 내용 분석
3) 국토정책 분야 공공기관 사업 인권영향평가의 문제점
4. 국토 분야 인권영향평가를 통해 존중, 보호, 실현되어야 할 인권
1) 누구의 인권을 다루어야 하는가: 국토정책 관련 이해관계자 유형
2) 어떤 권리를 포함해야 하는가: 국토 분야에서 존중·보호·실현하고자 하는 인권 유형
3) 어떻게 실현하는가: 국토정책에서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
5.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아 Young A Lee.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