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동아시아 수직공간의 정치

줄줄이 매달아 굴 기르기 : 굴-도구-열망-자본-위험의 집합체, 굴양식

원문정보

Growing Oysters by Hanging Them in Rows : Collectivity of Oyster-tool-aspiration-capital-risk, Oyster Culture

김지혜, 윤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yster culture industry in Korea has “grown” explosively in the wave of “modernization on fishing,” which is aligned with the period of condensed modernization since the 1960s. This industry is not only a collectivity of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s among sea animals called oysters and plural humans, but also closely entangled with ecological issues such as viruses, high water temperatures, red tides, and farm waste. Nevertheless, political and ecological discussions on oyster farming have not been properly conducted. In this study, the oyster farming industry was deconstructed and analyzed from a political and ecological perspective, and how the oyster farming industry has changed the Korean marine space. In particular, the three-dimensionality and fluidity of the marine space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discussion of natureculture. As a result, the dramatic increase in oyster production is not a single result of state-led growthism or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technology, but various aspirations for development, expansion of ecological knowledg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and tools, ecological risks, institutions, and capital, which was a heterogeneous collectivity.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ng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farms using the space vertically from the horizontal farms became dominant wa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ocean into a capitalist space of enclosure and intensive production. It was captured that objects such as viruses and marine debris that move across the boundary of farms have served as actors forming new aggregates. Through this, the study expanded the boundaries of “human history” to reveal the three-dimensionality and diversity of natureculture, in which non-human animals, tools, actions, capital, and ecological risks are complexly intertwined.

한국어

한국의 굴양식 산업은 1960년대 이후 압축적 근대화의 시기와 맞물려 있는 ‘어업 근대 화’의 흐름 속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이 산업은 굴이라는 바다동물과 복수의 인간 이 얽혀 있는 정치·경제적인 관계의 집합체일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고수온, 적조, 양식쓰 레기 등 생태적인 문제와 긴밀하게 얽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굴양식에 대한 정치생 태학적 논의는 그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정치생태학적 시각에서 굴 양식산업을 해체하여 분석하고 굴양식산업이 한국의 해양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는지 조명하였다. 특히 해양 공간의 입체성과 유동성을 자연문화 논의와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굴 생산량의 비약적인 증가는 국가 주도 성장주의나 수산 기술 발달의 단일한 결 과물이 아니라, 발전을 향한 다양한 열망들과 생태적 지식의 확장, 신기술과 도구의 도입, 생태적 위험과 제도, 자본 등이 결합된 복합적인 집합체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을 수평적으로 이용하는 양식장에서 수직적으로 이용하는 입체적 양식장이 우세해지는 변화 는 해양이 독점적 점유와 집약적 생산이라는 자본주의 공간으로 변화하는 과정이자 결과 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획 공간에서 경계를 넘어서 움직이는 바이러스와 쓰레기 같 은 사물들은 새로운 집합체를 형성하는 행위자로서 역할해 왔음도 포착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인간사’의 경계를 확장하여 생물, 사물, 행위, 자본, 생태적 위험이 복합적 으로 얽혀있는 자연문화의 입체성과 다변화성을 드러내 보였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자연문화의 유동성과 입체성
3.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국가의 어업 통제와 연안의 유사-사유화
4. 모방·시험·계획의 연쇄, 굴 기르기: 수평적 양식에서 입체적 양식으로
5. 종획되지 않는 바이러스와 해양쓰레기: 생태적 위험이라는 변화의 동력
1) 수출, 위생, 바이러스
2) 양식장을 드나드는 플라스틱 부자
6. 결론과 논의: 굴-도구-열망-자본-위험의 집합체가 만들어내는 생태계와 생태계 변화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혜 Jihye Kim.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수료
  • 윤순진 Sun-Jin Yu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