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have been shifted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pose future policies to localize cultural diversity. First,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which came from political struggles, to understand and practice cultural diversity in the historical context by analyzing the multilayer aspects of policy practices. Second, through the case study of Jeonlabuk-do, by reviewing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social minorities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s related to culture policies in the region, this study represents to understand and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multi-layed way, even in the local. Lastly, it suggests some specific future policies to be considered when implicating the policies of culture diversity in respond to the limits of current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decentralization of policies, enhancing local policies, transition from ‘politics of distribution’ to ‘politics of recognition’, an interculturalist approach that promotes contact rather than separ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시대적 맥락에 따라 문화다양성의 해석과 실천이 달라졌다는 전제 아래, 문화 다양성의 지역화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정 치투쟁의 결과로 나타난 문화다양성 개념의 해석과 정책실천의 중층성을 분석하여 시대적 맥락에 따라 문화다양성을 해석하고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밝혔다. 둘째, 전라북도를 사례로 사회적 소수자가 지역에서 경험한 차별과 문화정책 관계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지 역에서도 문화다양성이 중층적으로 해석되고 실천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부 정책의 한 계에 대응하여 지역에서 문화다양성 정책을 수립하는데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내용은 정책의 탈중앙화와 지역차원의 정책 발굴, ‘분배의 정치’에서 ‘인정의 정치’ 로 전환, 분리가 아닌 접촉면을 늘리는 상호문화주의적 접근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화다양성의 맥락적 해석과 실천
1. 문화다양성 개념의 중층성
2. 정책실천의 시대적 맥락화
Ⅲ. 문화다양성의 지역적 해석: 전북 사례
1. 지역에서의 문화다양성 경험과 인식
2. 지역적 이해와 정책과의 부조화
Ⅳ. 지역적 맥락에 따른 정책의 방향
1. 정책의 지역화 : 중앙에서 지역으로
2. 분배의 정치에서 인정의 정치로
3. 상호문화주의 : 분리에서 접촉으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