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소특정적 무용공연(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의 유형연구 : 포스트모던댄스의 장소 개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ype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Concept of Site of Post-Modern Dance

정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To analyze the types, I examine articles, interviews, reviews, and internet sources about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general site type is not just the dismantling of the boundary between everyday life and the arts but has the characteristic of a place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mind us of our ordinary lif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ubject of work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 venue. The site of specific meanings type is a museum with its own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 or the theme of the work is connec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a place where free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is not possible, and through this, an opportunity to create partnerships with local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The episodic site type is that the subject of the work is connected from the discarded and useless place, and through thi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ast and concerns about the issues currently occurring at the performance venue. This typ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lace tha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ng the place again.

한국어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댄스에서 시도된 다양한 안무특성 중 하나인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개념을 살펴보고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이 선보여진 장소의 특성을 기준으로 장소유형을 분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소특정적 무용공연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 언론매체의 관련기사와 인터뷰 내용, 비평가들의 평론, 인터넷자료를 포함하여,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을 10년 이상 해온 안무가들의 개인 홈 페이지나 리뷰, 동영상자료를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 여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일반적 장소유형은 단순히 일상과 예술의 경계 해체에 그치 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장소의 특성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되며 이를 통해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상기 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의 특성을 갖는다. 두 번째 의미적 장소유형은 고유한 문화적, 역사적 의미가 담긴 박물관이나 일반인의 자유로운 출입이 불가한 장소의 특성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 결되며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와 기관들과의 파트너십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소의 특성 을 갖는다. 세 번째 사건적 장소유형은 버려지고 쓸모없어진 사건적 장소에서부터 작품의 주제가 연결 되며 이를 통해 공연장소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고민과 과거의 역사적인 의미를 회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버려진 장소에 대해 장소를 새롭게 재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소 의 특성을 갖는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무대’에 대한 새로운 해석
Ⅲ.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사례분석
1. 헤이디 더클러(Heidi Duckler)
2. 노에미에 라프란스(Noémie Lafrance)
3. 스테판 코플로위츠(Stephan Koplowitz)
Ⅳ.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유형
1. 일반적 장소유형
2. 의미적 장소유형
3. 사건적 장소유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은주 Chung, EunJu.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