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제22회 국제학술심포지엄 ‘국경너머의 무용사’

재일동포사회에 있어서의 민족무용 교육의 현황 : 동경한국학교와 조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urrent State for National Dance Education in the Korean-Japanese Society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Tokyo Korean School and the Joseon School

박경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forms of basic and creative dances in Tokyo Korean School (hereafter Korean School) and Joseon School by focusing on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conducted by them, consider what a role the national dance has placed in internal and external events and suggest some tasks that they should perform in the future. From the consideration , following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in terms of basic dance, Joseon dance is taught by dance instructors trained in a consistent system with systematic curriculum in Joseon School, while Korean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in an autonomous form at the discretion of the instructors in Korean school. Second, in terms of creative dance, although Korean School put an emphasis on creative activities reflecting the current generation's senses, by considering the flow of times, Joseon School is biased toward the nationalist tendency and has no modernistic perspective. Third,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in both schools has commonly serv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moting the relation with Japan, the country of residence, through external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tasks of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can be suggested, on which the new generation should focus. First, it is important for both Korean and Joseon School to co-host the cultural events in which they can watch and learn each other's dance and create the environment for them. Second, a joint research on the traditional d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regular exchange between dance instructors working in both schools.

한국어

재일동포 사회에 있어서 조선학교와 동경한국학교(이하 본고에서는 ‘한국학교’로 칭함)의 사례를 들 어 무용교육의 현황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은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민족무용 교육의 방향을 가늠해 본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양 학교에서 이루어진 민족무용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양 학교의 기본무용과 창작무용의 형태를 비교하며, 대내외 행사 등을 통하여 민족무용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고찰하고 앞으로의 과제 에 대해 제언하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영상,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연구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위의 고찰을 통하여 첫째, 기본무용에 있어서 조선학교는 체계적인 수업내용을 갖추고 일관된 시스 템 안에서 양성된 무용 지도자들에 의해 조선무용이 교육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한국학교는 지도자의 재량에 따라 자율적인 형태로 한국무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창작무용에 있어서는 한국학교 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세대의 감각을 반영하는 창작활동에 주력하고 있으나, 조선학교는 민족주의적 인 성향에 편중되고 현대적인 시각이 결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셋째, 양 학교의 민족무용 교육은 대외활동을 통한 거주국 일본과의 관계를 도모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는 공 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민족무용 교육의 과제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한국학교와 조선학교가 서로의 무용을 관람하고 배울 수 있는 문화행사의 공동 개최를 위한 노력과 그를 위한 환경 창출이 중요하며, 둘째, 조선학교와 한국학교의 무용교육 지도자들의 정기적인 교류를 통한 남북의 전통 무용에 관한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양 학교 간의 협력과 교류는 현재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전통예술이 갖는 융합력은 정치적 장벽을 극복 할 수 있으며, 예술을 축으로 하면 학교 간의 소통을 통하여 학교가 민족무용의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이 재일동포 사회에 있어서의 민족무용 교육의 현황 파악 과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무용교육의 방향 설정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학교기관의 설립배경
1. 민단과 총련의 설립
2. 민족무용의 동향
Ⅲ. 조선학교와 무용교육
1. 조선학교의 연혁과 현황
2. 조선학교의 무용 교육의 양상
Ⅳ. 동경한국학교의 무용교육
1. 동경한국학교의 연혁과 현황
2. 동경한국학교의 무용교육의 양상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경란 Park, Kyoungran. 동경한국학교 무용담당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