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milegate is looking beyond the domestic market to become a truly world-class game publisher in the fast-changing game industry. Smilegate is the leading company behind ‘CrossFire’, the most played FPS game with over eight million concurrent players across the global contents users. Overwhelming game CrossFire is currently serviced in 80 countries throughout China, Europe, Asia, and South & North Americ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lution to discus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glocal contents strategy in Smilegate case from multiple views, with academic and practical lessons for seizing global market opportunity. Building on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accumulating market experience, Smilegate is constantly exploring new opportunities that will define localized online game. Also, Smilegate’s strategic vision is to create new game market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from anywhere,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 and device gap. This research untangles complex questions to provide that game and content ventures should educate and remind global+local contents developmen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the world-class growth in facilitating global publisher.
한국어
스마일게이트는 급변하는 게임 산업에서 국내 시장을 넘어 세계적 수준의 게임 기업으로 성장했 다. 스마일게이트의 성장을 이끈 대표적인 게임은 바로 ‘크로스 파이어’라는 FPS 게임이다. ‘크 로스 파이어’는 전 세계에서 800만 명의 게임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글로벌 게임이며 중국, 유럽, 아시아와 남미, 북미 시장 등 전 세계 80개국에 서비스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이다. 본 연구는 스 마일게이트의 성장을 살펴보기 위해 기업가적 지향성과 글로컬 콘텐츠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사 례연구를 진행, 벤처기업가들의 글로벌 시장 공략에 필요한 학문적⋅실무적 교훈을 제공하고자 한다. 스마일게이트는 기술적 역량과 시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게임의 현지화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끊임없이 탐색했다. 스마일게이트의 전략적 비전은 전 세계 게임 이용자들 이 문화적 차이나 게임 이용 환경의 차이에 상관없이 게임을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시장 을 창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게임 및 콘텐츠 벤처기업들에게 현지화에 초점을 둔 글로컬 콘 텐츠 개발과 기업가적 역량의 중요성을 제안하여 글로벌 성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교훈을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곽종민, 정재권(2019), “다자무역체제에서 한국 제조업의 글로벌기업가치 강화전략”,「글로벌경영학회지」, 제16권 제2호, pp.69-90.
- 2권상집(2016),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78-90.
- 3권상집(2018), “대한민국 벤처기업의 성장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기업가정신, 산업 환경, 정부 정책에 의한 기회 추구 메커니즘”,「한국창업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40-167.
- 4김성수(2014), “문화혼종, 글로컬문화콘텐츠, 그리고 콜라보레이션: 문화코드 간 콜라보레이션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글로벌문화콘텐츠」, 제16호, pp.43-72.
- 5김장훈(2012), “신흥국 글로벌기업의 신흥시장 현지화에 관한 소고: 이랜드그룹의 중국진출 사례”, 「전문경영인연구」, 제15권 제3호, pp.61-79.
- 6김정포(2012), “해외시장 지식학습의 선행요인: 중소벤처기업 전문경영인의 관점에서”,「전문경영인연구」, 제15권 제2호, pp.93-116.
- 7리우위, 권상집(2020),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기업 텐센트의 성장 전략: 모방형 혁신과 M&A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13.
- 8민보연, 김민호(2019), “한인여성 창업 결정요인: 미국 캘리포니아지역 사례연구”,「한국창업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60-183.
- 9박영은(2014), “해외시장 진입전략에서 창의성과 흡수역량, 전략적 지향성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게임산업을 중심으로”,「문화경제연구」, 제17권 제2호, pp.29-62.
- 10백서인, 권상집(2015), “CJ E&M의 혁신 및 성장 메커니즘: 기업가적 지향성, 융⋅복합 전략, 공유가치 창출”,「기업경영연구」, 제22권 제5호, pp.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