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독거노인들의 외로움과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 인지적 사회적 지지와 구조적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초록
영어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loneliness, and two types of social support(functional and structural) on the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living alone. About 254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eoul City and other cities in Gyeonggi-do and finished the questionnaires of lonelines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uctural social support, and the suicidal ideation. Data were entered into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study indicates that loneliness w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suicidal ideation. Thus, increased loneliness was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the suicidal ideation. This research study resul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functional social support. However, structural social support did not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icidal ideation. This research study w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들의 외로움과 인지적 사회적지지 및 구조적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어떤 영향 을 주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을 위해 외로움, 인지적 사회적 지지와 구조적 사회적지지 및 자살생각에 대하여 다중회귀기법의 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외로움은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 었다. 즉 독거노인들의 외로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독거노인들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임이 확인 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인지적 사회적 지지는 독거노인들의 외로움과 자 살생각에 완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구조적 사회적 지지는 완충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 로 본 연구 결과의 토대로 독거노인들의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토론하고자 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odel
Ⅳ. Research Method
1. Subjects and method
2. Participants
3. Measures
4. Research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