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래 초등교사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G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to Measure Key Competency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이정민, 김혜원

피인용수 : 2(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of the nine key competencies for students of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NUE)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o examine its validities. The detailed steps of the research process are following. First, based on a previous empirical study of GNUE, the study developed 174 candidate items and assess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andidate items by 15 experts in the field. Second, as a preliminary test(total of 145 items), responses of 424 students of GNU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evaluate the items and the sub-scales’ quality. Third, the preliminary data analysis resulted in 79 items, administered to 390 students of GNUE agai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tems and scale’s quality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the final 69 items for nine key competencies and identified two big domains of competences as a general competence domain (six competencies) and a specific competence domain(three competence). Additionally, using another students’ sample of GNUE(N=214), the scale’s measurement invariance was confirm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G교육대학교 재학생들이 예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과 관련된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174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둘 째, 전문가 집단을 통해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총 145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조사를 구성하였다. 셋째, G교육대학교 재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조사에 사용될 78문항을 도출하였다. 넷 째, G교육대학교 재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69문항으로 이루어진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완성하였다. 다섯째, 완성된 측정도구의 측정불변성 검증을 위해 G교육대학교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최종검사를 실시 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 동일 모집단 내의 다른 표본에서도 동일한 요인구조를 보이고 있음 을 확인하였다. 완성된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크게 일반역량군(창의역량, 심미적판단역량, 문제 해결역량, 공동체역량,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과 특수역량군(아동이해역량, 가치설정역 량, 교직전문성역량)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하위 역량들은 2개 또는 3개의 하위 영역을 지니 고 있으며, 각 하위 영역은 2∼5개의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역량에 대한 개념적 발달
2. G교육대학교 핵심역량의 구성요인과 측정 구인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개발 절차
3. 자료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예비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증
2. 예비조사 문항 분석 결과
3. 본 조사 결과를 이용한 구인타당도 분석 및 최종문항 선정
4. 측정불변성 검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민 Lee, Jungmin. 로체스터대학교 연구원
  • 김혜원 Kim, Hye-Weon. 공주교육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영혜, 박성호, 설가인, 임후남, 정동철, 황정원(2014). 2014 KEDI 학생역량지수 조사. 한국교육개발원.
  • 2고장완(2012). 성균핵심역량진단도구(SCCA) 개발과 활용. 제2회 역량기반 학부교육 심포지움.
  • 3교육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고등학교).
  • 4권성룡, 김창현, 김현주, 문경숙, 서장원, 손재천, 이우진(2018).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위한기초연구. 공주교육대학교 정책연구과제.
  • 5김갑성, 김주아, 김도기, 김용, 남수경(2009). 교원양성 교육과정 실태분석: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6김아영(2005). 심리검사의 제작과 활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수업참고자료.
  • 7김위정, 이혜정, 김태기(2014). 경기도 교육과정 핵심역량 체계 재정비 및 측정도구 개발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 8김지원(2019).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K대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김창환, 김본영, 문성빈, 김이경, 김진숙, 박종효, 박현정, 이광현, 채재은(2015). 한국의 교육지표·지수개발 연구(Ⅳ): 교원역량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10김혜영, 이수정(2013). 역량진단검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7(4), 139-17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