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첨단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formance Certification System of Inspection and Diagnostic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using Advanced Technologies

홍성호, 김정곤, 조재용, 김도형, 김정렬, 김영민, 이동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frastructures diagnosis equipment will be needed as infrastructures management is strengthened to implement the Framework Act on Sustainable Infrastructure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a certification system to supply certified products of a reasonable level in accordance with market requirements for various convergence equip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of inspection and diagnosis equipment for infrastructure using advanced technologies. Method: The basic elements, systems and procedures of certification system were reviewed through analyzing and comparing the existing similar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a catalog method and the minimum performance criterion (sampling survey an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o equipment developers (manufacturers), clients and equipment users. Result: This survey showed that clients preferred complete enumeration method on the basis of minimum performance, and equipment users also preferre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sample survey, for minimum performance, at a similar rate. On the other hand, equipment developers preferred the catalog method. Conclusion: Clients and users who are the users of the diagnostic equipment preferred the minimum performance criterion because their trust in quality i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developers(manufacturers) preferred the catalog method which adopts self certification because it is regulated in developing various products. There is no specific plan for the minimum performance standards require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ethod which users demand, at present. In addition, it is not desirable to force to introduce a certification system because it requires a considerable period of study to prepare the specific standard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operate the syst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entering around the catalog method for the stable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infrastructure diagnosis and test equipment market in Korea. Also, it is effective to expand and develop the certification system to the extent that it minimizes the impact on the market when specific plans for the standards are prepared in the future.

한국어

연구목적: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 시행으로 시설물관리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시설물 진단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양한 융합장비에 대한 시장요구에 맞춰 합리적인 수준의 인증제품 공급하기 위한 인증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첨단 기술을 이용 한 시설물 진단장비에 대한 인증체계 도입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기존 국내 유사인증제도에 대한 상세분석 및 비교를 통하여 인증제도의 기본적인 요소와 체계 및 절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카탈로그방식, 최소성능기준(표본조사, 전수조사)에 대하여 진단장 비 개발자(제조자), 발주자, 장비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결과 발주자는 최소성능기준 전수조사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장비사용자 역시 최소성능 전수조사 방식과 표본조사를 거의 비슷한 비율로 선호하였다. 반면, 장비개발자는 카탈로그방식 을 선호하였다. 결론: 진단장비의 사용자 입장인 발주자와 사용자는 품질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므로 최소성능기준제시를 선호하였다. 반면, 개발자(제조자)는 다양한 제품의 개발에 규제가 되므로 자기인증방식인 카탈로그방식을 선호하였다. 현재 사용자가 요구하는 최소성능기 준 방식의 도입에 필요한 최소성능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구체적인 최소성능기준 마련에도 상당한 기간 의 연구가 필요하므로 무리하게 인증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국내 시설물진단 및 검정장비 시장의 안정 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카탈로그 방식을 중심으로 일정기간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향후 필요에 따라서 최소성능 기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면 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인증 제도를 확대 및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국내외 유사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국내 시설물 진단장비 유사 인증제도 분석
국외 시설물 진단장비 유사 인증제도 분석
첨단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인증방안 도출
인증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개요
설문조사 결과
인증방안에 대한 고찰
최소성능기준방식 도입
카탈로그방식 도입
첨단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진단장비 인증제도 도입방향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홍성호 Sung-Ho Hong. Senior Principal Researcher, Future Strategy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Seoul, Republic of Korea
  • 김정곤 Jung-Gon Kim. Head Researcher,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saster Research Management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 조재용 Jae-Young Cho. Senior Researcher, Future Strategy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Seoul, Republic of Korea
  • 김도형 Do-Hyoung Kim. Senior Researcher, Department of Research,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 김정렬 Jung-Yeol Kim.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Republic of Korea
  • 김영민 Young-Min Kim. Principal Research Manager, Korea Authority of Land & Infrastructure Safety, Jinju, Republic of Korea
  • 이동욱 Dong-Wook Le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