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바이오디젤 혼합물의 인화 및 연소 위험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lammability and Combustion Risk of Biodiesel Mixture

김주석, 고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angers of biodiesel and general diesel mixtures currently used as alternative fuels by equipment (tag method and penski Marten method)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flash point and combustion point (closed, open) according to test methods.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firecausing substances by confirming the risk of mixtures by comparative analysis and measurement, and establishing a risk assessment method for chemical substances. Method: Flash point test method and result treatment were tested based on ASTM and KS M mode, which are tag sealing and pen schematense test methods used as flash point and combustion point test methods for crude oil and petroleum products. The manufacturer of the equipmen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test equipment that satisfies the test standards of KS M 2010 with equipment produced by TANAKA of Japan. The flash point and combustion point were measured, and the flash point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f biodiesel and general diesel mixture ( Closed, open), and the ignition point of a mixture of biodiesel and general diesel was compared and analyzed for ignition risk compared with conventional diesel. Results: Looking at the experimental results, first, as an analysis of the risk of flammability of the mixture, the flash point of a substance containing 70% biodiesel was found to be about 92℃ based on general diesel with a flash point of 64.5℃, and gasoline and biodiesel or When the biodiesel mixture was synthesized, it was confirmed that the flash point tends to decreas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ash point and the combustion point was analyzed as about 20 ~ 30℃, and when a small amount of gasoline or methanol was mixed, the flash point was lowered,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ustion point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mixture. Conclus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details of the criteria for judging dangerous materials in the existing Dangerous Materials Safety Management Act,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judgment of dangerous materials, we confirm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risk of the mixture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on flammable mixtures. It will be able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experimental criteria for flammable liquids that are regulated in the field. In addition, if this study accumulates know-how on experiment by test metho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search on risk assessment and research on dangerous goods.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체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바이오디젤과 일반디젤 혼합물의 위험성 을 장비별(태그방식과 펜스키마르텐 방식) 시험방식에 따른 인화점 및 연소점의(밀폐, 오픈) 차이를 비교 분석, 측정함으로서 혼합물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화학물질의 위험성 평가방법을 확립하여 화재원인 물질의 감식과 감정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인화점 실험 방법 및 결과 처리는 원유 및 석유 제품 인화점 및 연소점 시험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테그밀폐 식 및 펜스키마텐스식 시험방법인 ASTM 및 KS M mode를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장비의 제조사는 일본의 TANAKA사에 서 생산한 장비로 KS M 2010의 시험규격을 만족하는 시험장비로 인화점 및 연소점을 측정하였고, 바이오디젤과 일반디젤 혼합물의 시험방 식에 따른 인화점(밀폐, 오픈) 차이를 확인하고, 바이오디젤과 일반디젤 혼합물의 발화점을 기존의 디젤과의 비교 발화위험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혼합물의 인화 위험성에 대한 실험 결과 분석으로 인화점이 64.5℃인 일반 디젤을 기준으로 했 을 때 바이오디젤이 70% 함유된 물질의 인화점은 약 92℃로 확인되었고, 가솔린과 바이오디젤 또는 바이오디젤 혼합물을 합성했을 때 인화 점이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인화점과 연소점의 차이는 약 20~30℃정도로 분석되었고, 소량의 가솔린 또는 메탄올의 혼 합시 인화점은 낮아지나, 연소점은 기존의 혼합물의 연소점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위험물안전관리법 렬상의 위험물 판정 기준에 대한 세부내용의 실효성 확보 및 위험물 판정의 신뢰성 및 재현성 확보를 목적으로, 인화성 혼합물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서 혼합물에 대한 위험성 판단기준을 확인, 소방현장에서 단속되는 인화성 액체 대한 실험적 판정 기준에 대한 참고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로 시험방법별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한다면 위험물의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이자 위험물 판정에 관한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배경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연구방법
바이오디젤(Bio Diesel)혼합물의 인화점 및 연소점 측정실험(ASTM international, 2005; KATS, 2007)
바이오 디젤 혼합물의 밀폐식 인화점 측정실험
바이오 디젤 혼합물의 오픈식 인화점과 연소점(ASTM international, 2005; KATS, 2007)
혼합위험성
결과 및 고찰
태그밀폐식과 펜스키마텐스식의 결과 비교
시험방법별 인화점 및 연소점 비교
혼합위험성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주석 Ju Suk Kim. Junior Researcher Official, Fire Safe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re Research Institute, Asan, Republic of Korea
  • 고재선 Jae Sun Ko. Professor, Department of Fire Safety, University of Howon, Gunsan,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