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중수출기업 실태 및 수출역량강화 방안-제주지역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Survey on Companies in Jeju exporting to China and Plans Improving Capabilities to Export

정지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for the exportation by Jeju targeting China, the earnings in August of 2016 rose by 36% compared to these in the previous year which helped Jeju gain more than ten-million dollars in the export industry for the first time. For the last five years, the yearly average amounts of export have been on the constant rise However, when it comes to export sums of Jeju, they appear to be lowest which would imply how the province has not been making an impressive contribution to the rate of increase. In terms of the exportation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t present, Japa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ustomer but with all these export sums earned in the great China region such as Hong Kong, Taiwan, China and others put into calculation, the region is outrunning Japan only insignificantly, and that is why this study argues for how China has a chance of being the greatest export target of Jeju.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first looks into export competitiveness targeting China in a survey on actual circumstances of the Jeju’s export business with China and searches for measures not only to resolve hurdles against exportation targeting China but also to increase export as well. The findings of research the study has reached this conclusion that in order to strengthen capabilities of exporters in Jeju targeting China, the improvement work should be conducted focusing on these three goals in detail which would include improvement in global capabilities, improvement in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China and improvement in internal capabilities.

한국어

제주지역의 대중수출은 2016년 8월 기준 전년대비 36% 증가하며, 처음으로 1,000만 달러를 넘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수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 만 수출금액으로는 지자체 중 가장 낮으며 제주에 대한 기여도는 매우 낮은 편 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의 수출비중은 일본이 가장 높지만, 홍콩, 대만, 중국 등 중화권 수출금액을 합산할 경우 근사치로 앞서고 있어 향후 제주의 최대 수출 지역으로 부상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대중 수출업체 실태 조사를 통해 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대중 수출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제주특별자치도의 대중수출기업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글로벌 역량강화, 둘째, 중국 시장 마케팅 역량강화, 셋째, 내부 역량 강화 등 크게 세 가지로 세분화 되어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제주지역 대중수출 현황
Ⅳ. 제주지역 대중 수출기업 실태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정지형 Jung Ji Hyung. 제주연구원 경제산업연구부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