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부 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연구논문

‘경계’의 불화 : 興正寺(고쇼지) 소장 조선전기 <석가설법도>

원문정보

The Buddhist Painting at the 'Border': Shakyamuni Buddha Preaching produ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llected in Koshoji Temple, Japan

신광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Kosho-ji(興正寺) temple located in Nagoya, Japan, there is a Shakyamuni Preach Painting produ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a Buddhist painting drawn on a hem of 278.3cm in length and 271cm in width. Since there are no records left in the picture, it is difficult to clearly know the time of production, sponsors and producers. Neverthel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ainting, it is assumed that it was created with the public and monks support in the mid-16th century, was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and painted by a court painter. This aspect is interesting because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discor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previous studies,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largely referred to as 'royal sponsored works' and 'public sponsored works'. The background reflects the fact that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in production groups, base fabrics, styles, and forms of records depending on the class. Therefore,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16th century of Joseon, owned by Kosho-ji Temple,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require a new perspective on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period. Most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held oversea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releva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cords of the range of activities and exchanges of painters are very small. In this situation, this Shakyamuni Preaching can be said to be a very valuable visual material that allows the court painter to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public sponsored Buddhist paintings. In this paper, it was found that the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Myeongjong, Naesusa(內需司,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management of the royal family's finances during the Joseon), and Naewondang(內願堂, court-supported temple) were complexly connected to this background.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related discussions can be expanded by discovering more similar cases with “stylistic duality”, such as the case of Buddhist painting in the possession of Kosho-ji Temple.

한국어

일본 나고야 興正寺에는 조선전기 <석가설법도>가 한점 소장되어 있다. 세로 278.3cm, 가로 276.1cm의 삼베 바탕에 채색된 불화이다. 화기가 남아 있지 않아 제작시기, 발원자와 제작자를 명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작품의 분석 결과, 16세기 중반 민간발원으로 제작되어 대웅전에 봉안했던 것이며 궁정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양상은 조선전기 불화에 대한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난 것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선행 연구에서 조선전기 불화는 크게 ‘왕실발원’과 ‘민간발원’ 불화로 나누어 언급되었으며, 그 배경에는 양 계층별로 제작 집단, 바탕 재질, 화풍, 화기의 서식 등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興正寺 소장 조선 16세기 <석가설법도>는 조선전기 불화의 연구 방법론에 새로운 시각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조선전기 불화는 대부분 해외에 소재하여 정보의 취득이 어렵다. 또한, 화원들의 활동 범위와 교류에 대한 기록도 지극히 영세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석가설법도>는 궁정 화원이 민간 발원 불화의 제작에도 참여했음을 알게 해주는 매우 귀중한 시각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배경에 명종대 불교계, 내수사, 그리고 내원당 등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찾아 밝혔다. 향후 興正寺 소장 <석가설법도>의 경우처럼 ‘양식적 이중성’을 지니는 유사 사례들을 좀 더 찾아내어 논의가 확장될 수 있길 기대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興正寺 소장 <석가설법도>의 개요
1. 화면 구성과 표현 기법
2. 제작 시기
Ⅲ. 16세기 석가설법도와 興正寺 소장본
1. 16세기 석가설법도의 발원 주체
2. 변상판화 도상의 수용과 조합
Ⅳ. 양식의 이중성과 의미
1. ‘마본(麻本)’의 궁정화풍 불화
2. 궁정 화원의 활동과 명종대 내원당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광희 Shin Kwang h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