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머리 폄 각도에 따른 목뿔 위 근육의 근 활성도와 혀 압력 변화

원문정보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and Tongue Press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d Extension

오종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levels, subjectively perceived difficulty of swallowing, and intraoral pressures during swallow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d extension. Twelve healthy adult women, with no swallowing proble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swallow 3 mL of water in three positions (erect posture, 30°head extension, and full head extension). The maximum activation level of the suprahyoid musc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at in the erect posture and at 30° extension, that in the erect posture and at full extension, and that at 30°extension and at full extension. The degree of the perceived difficulty of swallow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at in the erect posture and at 30° extension, and between that in the erect posture and at full exten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sometric maximum anterior/posterior pressure of the tongue according to the angle of head extension, and the maximum oral pressure during typical/effortful swallowing as compared to that during swallowing in the erect posture. As the angle of head extension increased, the load applied to the swallowing-related muscles was increased and the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overcome this resistance.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intraoral pressure could be maintained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 as compared to that during swallowing in the erect posture. In addition, there were no symptoms that could suspect airway aspiration or penetration in the extended head positions. Thus, it was supposed that healthy adults could sufficiently overcome the resistance imposed on the head during extension and could perform safe swallowing. Thi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riteria for securing the safety of patient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candidates for head extension swallowing exercises in the future. To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hysiology of swallowing in extended head postures,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elderly patients or in those with dysphagia with reduced muscle strength related to swallowing.

한국어

본 연구는 세 가지 머리 자세에서 삼킴 중 목뿔 위 근육의 최대 근 활성도와 삼킴의 주관적 어려움, 그리고 구강 내 압력 변화를 확인하였다. 삼킴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건강한 성인 여성 12명 (평균연령 21.2 ± 0.62세, 범위: 20-2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목뿔 위 근육의 최대 활성도는 바른 자세와 30도 폄, 바른 자세와 완전 폄, 30도 폄과 완전 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삼킴의 주관적 어려움의 정도는 바른 자세와 30도 폄, 바른 자세와 완전 폄 사이에서 유 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머리 폄 각도에 따른 등척성 혀 앞쪽/뒤쪽 최대 압력, 편하게 삼킴/힘껏 삼킴 중 구강 내 최대 압력은 바른 자세에서의 삼킴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삼킴에 문제가 없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머리 폄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목뿔 위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가 함께 증가하게 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목뿔 위 근육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구강 내 압력은 바른 자세에서의 삼킴 시와 큰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머리 폄 자세에서 기도 흡인이나 후두 관통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나타나지 않아 건강한 성인들은 머리 폄 자세에서 부과되는 저항을 충분히 극복하고 안전한 삼킴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머리 펴고 삼킴 운동의 대상자를 선별하는 과정에 있어 대상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 한 기준 중 하나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각도의 머리 폄 자세에서의 삼킴 생리를 보다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선 삼킴 관련 근육의 근력이 저하된 노인 또는 연하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에서 시행한 검사
2.3. 실험과정
2.4. 통계분석
Ⅲ. 연구결과
3.1. 머리 폄 각도에 따른 삼킴 중 목뿔 위 근육의 최대 활성도 변화
3.2. 머리 폄 각도에 따른 삼킴 중 주관적 어려움의 변화
3.3. 머리 폄 각도에 따른 혀 압력 관련 변수들의 변화
Ⅳ. 고찰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오종치 Jong-Chi Oh.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