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leadership shared among players in high school soccer team on players’ self-efficacy and innovative performance. Of particular note, we hypothesized that self-efficacy would mediate between leadership shared among players and innovative performance. The surveys were sent to players in high school soccer teams and a total of 149 data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dership shared among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self-efficacy. Second, player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performance. Third, player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between leadership shared among players and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in-depth discussions were conduc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축구팀 선수들이 공유한 리더십이 자기 효능감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 는 것이다. 특히 선수들의 공유 리더십이 혁신성과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6개 고등학교 축구팀 149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선수 들이 공유한 리더십은 선수들의 자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둘째, 선수들의 자기 효능감은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수들의 공유 리더십은 자기 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의의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강상묵(2020).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공유리더십이조직신뢰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조직신뢰의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45(1), 3-19.
- 2고대유, 강제상, 김광구(2015). 공공조직의 침묵현상이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냉소주의를 통한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9(1), 1-28.
- 3김남이, 우정희(2018). 초보·상급초보간호사의 무형식학습, 공유리더십과 조직사회화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24(1), 1-9.
- 4김민규, 김성대, 한동유(2020). 청소년 여자축구 선수들의 자기효능감, 중요타자의지 및 진로결정수준간 구조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75-92.
- 5대한축구협회(2020). 2019년 팀 등록현황. https://www.k fa.or.kr/img_src/bbs/kfa_registration/158103959835618.pdf
- 6맹주태, 김원재(2018). 팀 자율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성과측정시스템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전산회계연구, 16(2), 97-137.
- 7서재교, 홍아정(2015). 공유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영향과 무형식학습,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8(3), 981-1008.
- 8송정수(2019).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9), 485-500.
- 9위희경, 김일, 류태모(2018). 공유리더십이 혁신행동에미치는 영향-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5(5), 103-126.
- 10이새미, 전상경, 구동우(2019). 공유리더십이 종사원의LMX, 직무열의, 그리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22, 99-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