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대학생들의 비대면 근력운동 프로그램 수행이 신체구성, 기초체력 및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Un-Tact Strength Training Program for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on University Student

정한상, 김성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un-tact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in the COVID-19 situation for 10 weeks, and the conclusions by observing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asic physical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are as follows. same. First, in both the video viewing group and the video education group, the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and the amount of lean body increased slightly, so the un-tact physical fitness exercise method was effectiv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changes of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in basic physical strength factors showed that the video education group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Lastly, the anaerobic power result showed that the video education group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on the average power improvement. When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raining and producing various athletic video and professional video education leaders and developing programs. In future studies, various video and video education programs will be needed, and research on various groups and program intensity will be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체력관리를 위해 지도유형을 달리한 비대면 근력 운동프로그램을 10주간 실시하였 으며, 이에 따른 신체구성, 기초체력 및 무산소성파워의 변화를 관찰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시청 집단 및 화상교육집단 모두에서 체지방률 감소와 제지방량이 다소 증가되어 비대면 체력운동방법으로 효과성은 있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초체력요인에서 근력과 근지구력변화의 경우 화상교육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산소성파워 결과는 화상교육집단이 평균파워 개선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양한 운동영상 및 전문 화상교육 지도자들을 양성 및 배출 그리고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판단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상과 화상교육 프로그 램이 필요할 것이며, 다양한 집단과 프로그램 강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운동 프로그램
3. 측정항목 및 방법
4. 자료처리
Ⅲ. 결과
1. 근력운동 프로그램수행에 따른 신체구성의 변화
2. 근력운동 프로그램수행에 따른 기초체력의 변화
3. 근력운동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무산소성파워의 변화
Ⅳ. 논의
1. 신체조성
2. 기초체력
3. 무산소성 파워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한상 Jung Hna Sang. 강남대학교, 시간강사
  • 김성연 Kim Sung Yeon. 대한장애인 체육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