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중년여성의 국선도 수련이 비만지표와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Kuksundo Training on Obesity Index and Stress Factors in Middle Aged Women

강영록, 임동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iddle-aged women on obesity indicators and stress factors through 16 weeks of Kuksundo training. The middle-aged women(65.19±4.2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subjects who had no experience in Kuksundo training, and a total of 19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16 weeks(3 times / week) of Kuksundo train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measuring obesity indicators(% Fat, BMI) and stress factors. The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mass index of middle-aged wo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5) and Among the stressor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p<.05) in habits and behavioral factors caused by stress after 16 weeks of Kuksundo trai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women's Kuksundo training is a positive and effective exercise for middle-aged women's obesity and stress factors, and a positive exercise in both the physical and mental parts.

한국어

이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6주간의 국선도 수련을 통하여 비만지표와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중년여성(62.15±4.2세)은 평상시 국선도 수련 경험이 없는 연구대상자로 총 19명이 참여하여 16주간(3회/주)의 수련기간을 거쳐 국선도 수련 전.후의 비만지표(체지방률, 체질량지수)와 스트레스 요인(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스트레스로 인한 습관 및 행동)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6주간의 국선도 수련에 따른 중년여성의 체지방률(% Fat)과 체질량 지수(BMI)는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p<.05), 스트레스 요인 중 스트레스로 인한 습관 및 행동 요인에 있어서 스트레스의 유의한 감소 결과가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국선도 수련은 비만과 스트레스 요인에 있어서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운동이 될 수 있으며, 중년여성의 비만 예방과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신체적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2. 스트레스 요인 및 비만지표 측정방법
3. 국선도 수련
4. 자료처리
Ⅲ. 결과
1. 비만지표 측정 결과
2. 스트레스 요인 변화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영록 Kang, Young-Rok.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수료
  • 임동호 Lim, Dong-Ho.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