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study about the tour guide program that is called the ‘Koreatown Fieldwork’, which is held at Osaka Korean Town. This Koreatown Fieldwork provides tour information along with educational program. A Zainichi Korean tour guide usually operates the Koreatown Fieldwork with around 25 Japanese tourists. The tour guide’s (Zainichi Korean) explanation is not focused on the Korean Wave (Hanryu), but rather than based on forgotten or unknown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us, the content of this fieldwork starts from the ancient state ‘Baekje’ and goes toward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creates a narrative of history of Korean in Japan. This narrative plays an important role in verifying the essential reason for why Korean residents in Japan did not have choice to live at another place. Furthermore, this fact proves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are visible subject at Osaka, Japan. Therefore, the oral narrative–performance process is for not only the historical record, but also production of another result of oral history collection.
한국어
이 논문은 현재 일본의 인기관광지 ‘오사카 코리아타운’에서 진행되고 있는 ‘코리 아타운 필드워크’라는 관광해설 및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필드워크는 한명의 재일코리안 강사가 25명 이내로 구성된 참가자 한 팀을 맡아 코리아타운을 함께 걸 으며 구술-연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강사가 구술하는 내용은 현재 코리아타운 에서 인기 있는 한류에 관한 것이 아니라 현재의 흔적 너머로 사라져 보이지 않는 장 소 곳곳에 얽힌 재일코리안의 사연과 기억에 관한 것이다. 필드워크는 백제와 관련된 고대사에서 일제강점기의 강제이주 및 각종 먹거리와 의복에까지 이르는 여러 기억들 을 ‘연결’시키며 하나의 서사를 구성해 나간다. 고대의 기억은 재일코리안을 지역사 속으로 위치시키고 일본의 음식이 된 재일코리안의 음식은 이들의 문화 역시 일본의 문화의 일부분임을, 히라노강은 이들이 일본의 공간과 장소를 함께 만들어나가는 주 체임을 참가자들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연행을 통해 재일코리안들은 일본의 지역 문 화 속에 녹아있는 자신들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고 스스로의 존재적 당위성과 더불어 재일코리안 역시 일본이라는 국가, 오사카라는 지역을 형성하는 ‘가시적 존재’임을 주 장한다. 코리아타운 필드워크가 보여주는 이러한 구술-연행 과정은 기억이 글로 기록 되는 것 외에도 연행-구술을 통해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조선시장과 코리아타운
1) 조선시장의 성립과 발전: 탈식민과 냉전의 이주 정착사
2) 조선시장의 쇠퇴와 민족문화운동: 재일코리안의 새로운 정체성
3) 조선시장에서 코리아타운으로: 디아스포라 공간과 관광지
3. 코리아타운 필드워크의 시작
1) 코리아NGO센터와 필드워크
2) 강연 내용 구성과 집합기억
3) 강사의 자격과 전승
4. 코리아타운 필드워크 현장의 재구성
1) 기념물을 통해 연결되는 지역사
2) 장소를 통해 매개되는 기억
3) 함께 사는 존재로서의 ‘재일’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