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을만들기를 위한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에 대한 연구 : 전북지역 마을신문 참여자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for Community making :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maeul newspaper in Jeollabuk-do

김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maeul community media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making plays its role and how the results of the practice affect the loc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major categories of the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paradigm were derived.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 ‘central ac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has its meaning in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and communicating with local communities. The motive of participation, ‘cause factor’, was value realization and community networking. The ‘contextual situation’ is mentioned in two aspects: contents and operation. The category of contents is related to local information, local issues, local people's lives,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The category of community communicating presented in the central action is properly reflected in the content aspect. However, from the operational aspect, the practice of maeul community media has various tasks to be solved in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of members, and financial problems. The ‘intervention condi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is recognized as community media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ocal media. Based on this, seeking interaction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in contextual situation. The categories of ‘interaction strategy’ were suggested as strengthening resident networking, expanding profit structure, urging public support, expanding platforms, and enhancing participant capacity. It is a task to be solved for the practice of sustainable maeul community media. The ‘result’ of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was identified as the identity of community media, the formation of community public sphere, and the empowerment of local community. It is a result evaluation that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is acting as a good function for the local community.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evaluation that the practice of the maeul community media leads to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obstacle factors in the context of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The interaction strategy for this should be more actively sought.

한국어

본 연구는 마을만들기와 연계되어 있는 마을공동체미디어가 어떠한 방식 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그 실천의 결과는 지역공동체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법론에 의한 질 적 분석을 수행하여,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이라는 중심 행위에 대한 참여 원인 요인, 맥락 정황, 중재 조건, 상호작용 전략, 결과라는 패러다임적 관계 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중심 행위’는 지역공동체 활 성화와 지역사회 소통에 그 의의와 목적을 두고 있다고 제시했다. 참여의 동 기인 ‘원인 요인’은 가치실현과 지역사회 네트워킹으로 나타났다. 즉, 마을공 동체미디어에 대한 참여는 중심 행위에 대한 가치실현과 이를 위한 연계망 이 작용한 것이다. ‘맥락 정황’은 내용과 운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언급 되고 있다. 내용적 측면의 범주는 지역 정보, 지역 이슈, 지역민의 삶, 지역 문화・환경과 관련되어 있다. 중심 행위에서 제시된 지역사회 소통이라는 범 주가 내용적 측면에서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음이다. 하지만 운영적 측면에 서 보면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실천은 참여자 구성, 구성원 소통, 재정 문제 등에서 풀어나가야 할 여러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중재 조건’은 주민참여 공동체 미디어라는 것과 지 역기반 미디어라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를 토대로 맥락 정황에서 나타난 문 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상호작용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상호작용 전략’의 범주는 주민 네트워킹 강화, 수익구조 확장, 공적지원 촉구, 플랫폼 확장, 참여 자 역량 제고로 제시됐다.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실천에서 풀어나 가야 할 과제들인 셈이다.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의 ‘결과’는 마을공동체미 디어의 정체성 확인, 지역공론장 형성, 지역공동체 임파워링이라는 범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이 지역 사회에 순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는 평가이다. 종합하면, 참여자들은 마을공동체미디어라는 중심 행위에 대한 실천이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개인적 차원에서는 참여의 원인 요인들이 결과적 만족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의 맥락 정황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들 의 해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상호작용 실행 전략이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배경적 논의
1) 전북 마을공동체미디어 현황 및 사례
2) 근거이론 방법론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대상 및 연구참여자
3)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1) 중심 행위와 원인 요인 ;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의미 및 참여 이유
2) 맥락 정황 ; 마을공동체미디어 내용과 장애 요소
3) 중재 조건과 상호작용 전략 ;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위상 조건과 발전 전략
4) 결과 ;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의 성과와 영향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규 Eungyoo Kim. 우석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