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국인주민의 행복도 및 정주환경 만족도 분석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Sense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ettlement Environment for Foreign Residents at Jeollanam-do in Korea

김도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atisfied and happy foreign residents are with their lives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conducted on foreign residents living in the Jeollanam-do region which reviewed their sense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their new settlement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women are happier than men, and marriage immigrants are happier than foreign workers, and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ettlemen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for each of seven sectors that make up the settlement environment, the higher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and happiness level. In addition,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self-esteem, income satisfaction, subjective income level,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the higher the tendency towards increased happiness. Whereas, the lower the degree of stress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s a foreigner, the higher the tendency towards increased happiness. For foreign reside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so a policy approach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Research shows that foreigners who have someone to rely on have a higher happiness index. Likewise, policy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social networks so that foreign residents can stably adapt in unfamiliar environm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주민이 한국에서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고 행복한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주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이들이 느끼는 행복도와 정주환경 만족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 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외국인근로자보다는 결혼이민자가 행복하고, 정주환경에 대해서도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주환경 7개 부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반적 만족도도 높고 행복도 역시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평가, 자존감, 소득 만족도, 주관적 소득 수준, 주관적 경제 지위 등이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스트레스 정도, 외국인으로서 차별 경험 체감 정도 등은 낮을수록 행복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주민에게 차별의 경험은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정책적 접근이 요구되며, 의지할 사람이 있는 경우 더 행복한 결과를 나타낸 것처럼 외국인주민이 낯선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연결망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언
Ⅱ. 설문의 설계 및 응답자 특성
1. 조사의 범위와 분석 방법
2. 응답자의 사회적 인구 분포
Ⅲ. 설문조사의 결과 : 분석 및 해석
1. 행복도
2. 정주환경 만족도
3. 행복도 및 정주환경 만족도 간 상관관계
Ⅳ. 결어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도형 Kim, Dohyung.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발전연구실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