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공감능력,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역량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on Relationships among Self-awarenes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오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awarenes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Data on subject’s self-awarenes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uring September and December 2019, data were collected from 282 nursing students in J and K c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s. Self-awarenes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lso, communication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awareness, empathy, emotion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education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self-awareness, empathy,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together whe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공감능력,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역량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자기인식, 공감능력,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역량은 구조화된 자 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2019년 9월 1일부터 12월 16일까지 J, K 도시의 282명의 간호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인식, 공감능 력,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역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자기인식, 공감능력과 감성지능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은 자기인식, 공감능력,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역량 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역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자기인식, 공감능 력,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발전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자
2.3 자료수집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이에 따른 대인관계역량의 차이
3.2 대상자의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능력, 자기인식, 공감능력 및 감성지능의 정도
3.3 대상자의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능력, 자기인식, 공감능력 및 감성지능 간의 상관관계
3.4 대상자의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능력, 자기인식, 공감능력 및 감성지능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은정 Eun-Jeung Oh.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