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nline shopping malls into total transaction amount and transaction amount by product, and compare them to find synchronism.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KOSIS for Food Services, Home Appliances⋅Electronics⋅Communication devices, Food & Beverages, House_Goods, Clothing, Computers & Peripheral Devices. The analysis period is a total of 44 monthly data from January 2017 to August 2020. In descriptive statistics, variability is relatively very stable in the case of food service, but is large in the case of clothing.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otal transaction amount shows a certain level of correlation with each product. In the analysis of the increase rate, Food Service increased by 1,039%, Home Appliances⋅ Electronics⋅Communication devices increased by 325%, Food & Beverages increased by 296% and House Goods by 250%, but Clothing decreased slightly to 92.56%. In the Scatter Charts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Total transaction amount & House Goods, Total transaction amount & Home Appliances ⋅Electronics⋅Communication devices is generally upward, showing a high level of synchronization. Due to Corona 19, we will have to continue our efforts to provide speed, stability, convenience and various services in preparation for the increase in transaction volume of online shopping mall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쇼핑몰 Online몰 거래액 동향을 한국 총 거래액과 각 상품별 거래액을 산출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고 동조화현상을 찾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 이용된 데이타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총 거래량과 음식 서비스, 가전⋅전자⋅통신기기, 음식료품, 생활용품, 의복, 컴퓨터 및 주변기기를 검색하였다. 분석기간은 2017년 1월 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44개 월간자료를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량에서 음식서비스는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안정 되어 있으나 의복은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에서 총 거래액에 대해 각 상품별로 일정 수준 이상의 상관관 계를 보여주었다. 상승률 동향에서 음식서비스 1,039%, 가전⋅전자⋅통신기기 325%, 음식료품 296%, 생활용품 250% 상승한 반면 의복은 92.56%로 소폭 하락하였다. Scatter 분석에서 총 거래액과 생활용품 및 가전⋅전자⋅통신기기의 분포도는 대체로 우상향하는 형태로 나타나 높은 수준의 동조화현상이 나타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쇼핑몰의 거래액 증가에 대비하여 신속성과 안정성, 편리성, 다양한 서비스제공 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온라인 홈쇼핑 선행연구
2.1 온라인쇼핑몰에 미치는 영향
2.2 온라인쇼핑 이용의도
2.3 온라인쇼핑몰의 상품별 영향
3. 자료수집과 온라인쇼핑물 상품군별 동향
3.1 자료수집
3.2 온라인쇼핑물 상품군별 동향
4. 실증분석
4.1 수치분석
4.2 지표분석
4.3 모형분석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