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술치료 기획자와 운영자의 미술치료 정체성 인식에 대한 개념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Art Therapy Identity between Art Therapy Managers and Art Therapists : A Concept Map

홍은주, 김서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identity, between art therapy managers and therapist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 In the process, we conducted in-depth online interview of nine art therapy managers and nine art therapy operators.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identity was categorized into two-dimensional groups of four factors and 57 statements within the group of managers, and categorized into two-dimensional groups of five factors and 53 statements within the group of therapists. As regards the identity of art therapy, the art therapy manager group was classified, on the two levels of therapist-client and tool-effectiveness, into four respective clusters: the professionalism factor of art therapy, the effectiveness factor of art therapy, the client factor of art therapy, and the factor of the art medium. In comparison, the art therapists group was classified, on the two levels of client-effectiveness and external elements-internal elements, into five clusters: the professionalism factor of art therapy, the differentiation factor of art therapy, the factor of the art medium, the effectiveness factor of art therapy, the client factor of art therapy. This study was able to establish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identity, between art therapy program managers within a clinical setting and art therapists who actually carry out the program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is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erception of an art therapy identity.

한국어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미술치료 기획자와 운영자의 미술치료 정체성 인식 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기획자 9명과 미술치료 운영자 9명을 대상으로 비 대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치료 정체성 인식은 미술치료 기획자 그룹에서 2차 원의 군집 4개 요소와 진술문 57개, 미술치료 운영자 그룹에서 2차원의 군집 5개 요소와 진술 문 53개로 분류되었다. 미술치료의 정체성 인식에 대해 기획자 그룹의 인식은 치료사-내담자 차원과 도구-효과의 두 차원으로 각각 미술치료 전문성 요소, 미술치료 유용성 요소, 미술치료 대상 요소, 미술 매체 요소라는 4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비해 운영자 그룹의 인식은 치료자-효과성 차원과 미술치료의 외적 요인-내적 요인의 두 차원으로, 미술치료 전문성 요소, 미술치료 차별성 요소, 미술 매체 요소, 미술치료 유용성 요소, 미술치료 대상 요소라는 5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미술치료 기획자와 운영자가 인식하는 미술치 료 정체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문성 요소가 미술치료 정체성 인식에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미술치료 정체성 인식에 대한 개념도
2. 미술치료 정체성 인식에 대한 중요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은주 Hong, Eun-Joo. 을지대학교 아동학부 부교수
  • 김서현 Kim, Seo-Hyun. 동국대학교 대학원 상담코칭학과 미술치료전공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