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왕필의 『노자지략』과 노자

원문정보

Wangpi, Summation of Laozi, and Laozi

정세근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94집 2021.03 pp.371-39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 Wangpi is famous for the Commentary of Laozi. He, however, had maintained a remarkable reputation as a interpreter of the Book of Change before Neo-Confucian established their own interpretation on it in Song Ming dynasty. Wangpi was classified as a taoist due to wonderful commentary for Laozi. Is it right? Wangpi shows us his direction and summary with Summation of Laozi. Hereby Wangpi emphasizes the status of shapelessness and namelessness until shape and name come to the present world. The status of shapelessness and namelessness is not the absolute nothingness but a start and a root of existence. Therefore Wangpi does not hesitate to give a status of patriarchic origin to the nothingness. The nothingness is a lord, and a lord is one, so the nothingness becomes one in his conclusion. Laozi claims the third situation above relativities. It is tao. Wangpi, however, let us choose one between two. It is the way of dualistic distinction which does grasp the root between root and branch. Because Wangpi’s theory of root and branch unfolds a value judgment, it is attractive for later Neo-Confucians who assert the principle(li) and its activities(qi).

한국어

왕필은 하상공과는 다른 입장 때문에 『노자주』로 이름이 나있지만, 송명 이학(理學)자 들의 해석이 득세하기 전까지 그의 『주역주』는 『십삼경주소』의 하나로 가장 정평 있던 것 이다. 그럼에도 『노자주』의 위상 덕분에 왕필은 도가로 분류되었다. 그것은 옳은가? 왕필은 『노자지략』 을 지어 자기 주해 속의 지향과 요략을 분명히 드러낸다. 여기서 왕 필은 무보다는 무형과 무명을 내세워 꼴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상태를 강조한다. 무형과 무명은 절대무가 아니라 유의 시원이자 근본이 된다. 따라서 왕필은 무 에 종주(宗主)의 지위를 부여하는 데 머뭇거리지 않는다. 그에게 무는 종이고 종은 하나 (一)이기 때문에 결국 무는 하나가 된다. 노자는 상대성을 떠나 제3의 세계를 말한다. 그것이 도다. 그러나 왕필은 상대성 가운 데 하나를 선택하라고 말한다. 그것이 뿌리와 가지 가운데 뿌리를 잡으라는 이원적 차등법 이다. 왕필의 본말론은 확실한 가치 판단을 보여주고 있다. 노자는 귀천을 떠난 도를 말한 다. 자연의 세계는 귀천이 있을 수 없다. 귀천은 지배와 통제를 위한 인위의 명령일 따름 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왕필이 존비와 귀천을 담는 『주역』 으로 단순히 선후나 상하를 말 하는 『노자』를 해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왕필은 본말론을 내세워 언제나 한쪽에 손을 들어준다. 그가 벌이는 가치 판단 은 이후의 이기론자와 같은 철학자에게 매력적으로 쓸모 있게 다가왔다. 왕필의 가치와 용도가 여기에 있었다.

목차

요약문
1. 『노자』와 『주역』사이
2. 『노자지략』
3. 왕필과 노자
4. 하나인 무극
5. 왕필의 쓸모
참고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세근 Jeong, Se-Geun. 충북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