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 시대, 청년들의 고용취약성은 보장되는가?

원문정보

In the era of COVID-19, are Youths’ Employment Vulnerability guaranteed?

박자경, 서예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2th year of the Youth Panel Survey (YP) in order to analyze the employment vulnerability of youth in the era of COVID-19. The employment vulnerability score was calculated using the U.S. mandatory industry classific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telecommuting by dividing into the non-essential industry score and the non-telework job score based on the jobs currently employed in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employment vulnerability scor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ndustry and occupation,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 and region was also remarkable. As a result of conducting K-means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vulnerability score, it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type. Males and high school graduates belonged more to the non-teleworkable-non-essential industrial type, and women and college graduates were more distributed to the teleworkable- non-essential industrial type. Through the research, it could be suggested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industry and occupation is needed in policy support for employment vulnerability of youth in the era of COVID-19.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대 청년들의 고용취약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YP)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용취약성 점수는 2018년 당시 재직 중인 일자리 를 기준으로 비필수 산업 점수와 비재택 직업 점수로 구분하여 미국의 필수산업 분류와 재택근무 가능여 부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과 직업의 분류에 따라 고용취약성 점수의 분포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학력, 지역 등의 특성에 따른 차이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고용취약성 점수에 따라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은 재택가능-필수산업 형, 재택 불가능-비필수산업형, 재택가능-비필수산업형, 재택 불가능-필수산업형으로 명명할 수 있다. 각 유형에 따른 개인 특성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이면서 고졸자일수록 재택불가능-비필 수산업형에 더 많이 속했으며, 여성과 대졸자가 재택가능-비필수산업형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시대의 청년들의 고용취약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 산업과 직업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용취약성
2. 재택근무 및 필수산업
Ⅲ.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2.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고용취약성 점수 분석
2. 고용취약성 점수별 개인 특성 차이분석
3. 청년 고용취약성 유형화
4. 고용취약성 유형에 따른 개인 특성 차이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한국표준산업분류 및 한국고용직업분류

저자정보

  • 박자경 Ja-Kyung Park.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박사수료
  • 서예린 Yelin Suh.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