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형성 과정 연구 :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Building Process of South Korean People about the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김대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media perspectives, this study collected 757 newspaper articles from 14 newspaper organizations from January 1st 2017 to December 31st 2019. For analyzing audience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South Korean people. Finally,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ose data. Results In the newspapers, words such as Saetemin and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were used to closely associate with internal issues like unification betwwen South and North Koreas; while a word like North Korean defectors was closely linked to international issues like human rights. The perceptions of audiences included key words like concerns, support, and help. Conclusions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utilized the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audiences has perceived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pitiful images and emotions. In the PR campaign, PR professionals should attempt to decrease multi-purpose uses of the newspapers and potential negative images of the audiences.

한국어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 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미디어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4개 신문사에서 북한이탈 주민 관련 기사 757건을 수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 상으로 하는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여 미디어 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신문 보도에서 새터민과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문제와 같은 국내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 는 반면에 탈북자는 난민, 인권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 들의 인식 네트워크에는 관심, 지원, 도움, 적응, 동포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신문 보도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국내적 시각과 국제적 시각으로 구분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수용자는 북한이 탈주민과 연관된 이야기를 이성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이미지나 감정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고 있었다. PR의 공공 캠페인 차원에서 신문의 목적에 따른 용어 혼용을 제한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서 존재하는 부정적인 단어들을 개 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서론
선행 연구 검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시각
수용자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미디어 효과
연구 방법
연구 결과
<연구문제 1>에 대한 결과
<연구문제 2>의 결과
<연구문제 3>의 결과
<연구문제 4>의 결과
논의 및 결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제안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대욱 Daewook Kim. 인천가톨릭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