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3D 모델링 시스템을 활용한 금속젓가락 디자인 연구 - 한국의 문화요소 활용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l Chopsticks using 3D Modeling System -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ultural elements -

이규남, 조수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designs of chopsticks which are the tableware we use in our daily live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3D Modeling System applications to improve their designs that will add the beauty of dining by sublating uniform and limited designs of the Korean chopsticks. To do so, this researcher was produced prototypes to be a unique cultural content through delicate expression using 3D Modeling while utilizing the Korean cultural elements as the design elements. After its production, unique design for chopsticks could be developed with the Korean characteristics. Like the case of this prototype, 3D Modeling and 3D Printing can help seek the new designs of chopsticks and improve the quality by multiple simulations. Also, it will assist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that can play a role of the Korean cultural good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생활 도구인 젓가락의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고, 획일화되고 한정된 우리의 금속젓가락 디자인을 지양하여 식탁의 미학을 더할 디자인으로의 향상을 꾀하고자 3D 모델링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한국의 문화요소를 디자인의 조형요소로 활용하는 가운데 3D 모델링을 이용한 섬세한 표현을 통해 독창적인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작 결과, 한국의 특성을 지닌 개성 있는 젓가락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제품의 사례와 같이 3D 모델링과 3D 프린팅은 젓가락 디자인의 새로운 탐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디자인의 향상과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의 문화상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본론
2.1 젓가락의 일반적・역사적 고찰
2.2 동아시아 삼국의 젓가락 비교
2.3 한국의 문화를 담은 젓가락 디자인
3.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규남 Kyu-Nam Yi. 청주대학교 공예디자인학과 교수
  • 조수임 Su-Im Jo. 청주대학교 아트&크래프트전공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